
안녕하세요 광고 퍼포먼스 2본부 1팀 정태하 AE 입니다
메타에서 게임 앱 광고가 많이 보이는 이유는 퍼포먼스 구조가 특히 잘 맞기 때문입니다.
게임 카테고리는 LTV 기반 운영이 명확해 머신러닝 효율을 가장 크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퍼포먼스 마케팅 관점에서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메타 게임 앱 광고 운영 전략
-
AAA 기반의 확장형 캠페인 설계
게임 앱은 제한된 타겟팅보다 전체 유저 풀을 넓게 열어두는 것이 머신러닝 최적화에 효과적입니다. Advantage+ App 캠페인 중심으로 구성하고 소재 수를 최소화해 자동 분배 효율을 높이는 방식이 일반적입니다. -
학습 안정화를 위한 초기 볼륨 확보
게임 광고는 초기 7일 전후로 학습 데이터가 쌓일수록 CPI와 ROAS가 안정화됩니다. 하루 50건 이상의 주요 전환 확보를 목표로 예산을 넉넉하게 유지해야 안정적인 퍼널이 형성됩니다. -
CPI보다 튜토리얼 완료나 D1 ROAS 같은 고품질 전환을 최적화 기준으로 설정
CPI가 낮아도 retention이 약한 유저라면 결국 가치가 없습니다. 초반에는 설치 기준으로 시작하더라도 빠르게 튜토리얼 완료, 첫 스테이지 클리어, 첫 결제 등 LTV에 직접 연결되는 이벤트로 전환 최적화를 변경하는 것이 일반적인 운영 방식입니다. -
소재 중심 반복 테스트 운영
게임은 소재 피로도가 매우 빠르기 때문에 매주 새로운 크리에이티브를 투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플레이 영상 기반 데모형, 실수와 성공을 보여주는 호기심 유도형, 캐릭터 중심 감성형, 밈 기반 유저 공감형 등 여러 포맷을 지속적으로 생산해 테스트하는 것이 성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줍니다. -
유저 풀 확장 전략
게임 앱은 타겟을 좁히기보다 전체 오디언스를 활용하는 편이 성과가 더 잘 나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메인 캠페인은 브로드로 운영하고, 설치 이후 특정 행동을 했으나 결제를 하지 않은 유저를 중심으로 리타겟팅을 구성해 ROAS를 보완하는 전략이 주로 사용됩니다. -
결제 기반 게임과 광고 기반 게임의 목적 차이
인앱 결제 중심 게임은 초반 ROAS, 첫 결제 이벤트, 고가치 유저 패턴을 중심으로 최적화를 구축합니다. 광고 시청 기반(IAA) 게임은 CPI 절감과 대규모 유입이 핵심이므로 최대한 넓은 타겟과 대량 노출 전략을 사용해 수익을 회수합니다. 비즈니스 모델에 맞춰 목표 지표를 다르게 가져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
피크 시간대의 자연 확장 활용
게임 카테고리는 저녁과 주말에 유저 활동량이 증가합니다. 이 구간에서 예산 상한을 막지 않고 자연 확장이 일어나도록 세팅하는 것이 전체 퍼포먼스 안정화에 도움이 됩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