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f)
안녕하세요, AMPM 글로벌 퍼포먼스 1본부 1팀 김휘원 대리입니다.
오늘은 많은 광고주분들이 공감하실 만한 주제, 스킨케어 브랜드 광고는 왜 이렇게 어렵게 느껴지는지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메타, 네이버, 구글 등 주요 플랫폼을 다뤄본 입장에서, 이 업종이 특히 힘든 이유는 명확합니다.
첫 번째, 시장 포화와 크리에이티브 경쟁
뷰티·스킨케어 시장은 이미 브랜드, 인플루언서, D2C몰이 넘쳐납니다.
유사한 효능·원료·컨셉이 쏟아지다 보니, 소비자 입장에서는 ‘다 거기서 거기’로 인식되기 쉽습니다.
결국 클릭을 유도하려면 소재의 임팩트가 절대적으로 중요하지만, 화장품 광고는 ‘비교, 전후 사진, 자극적 문구’가 제한되어 있어 소재 경쟁력이 떨어지기 쉽습니다.
“우리 소재가 소비자의 ‘피부 고민’이 아닌 ‘제품 자랑’ 위주로 되어 있진 않은가?”
“효능보다 감정, 사용 경험을 중심으로 스토리텔링하고 있는가?”
이 부분을 점검하면 조금은 더 나은 퍼포먼스를 내는데 도움이 되실 거라고 생각합니다.
두 번째, 플랫폼 제약과 정책의 장벽
특히 구글 광고는 ‘피부 개선’, ‘트러블 완화’, ‘모공 축소’ 등 표현이 금지되어 있어 소재 하나를 통과시키는 것도 쉽지 않습니다.
한 번 리젝되면 계정 신뢰도까지 떨어져 광고 효율에 영향을 주기도 합니다.
‘피부 개선’ 대신 사용 전후의 감정 변화를 중심으로 표현하기
직접적인 ‘효능 언급’보다 ‘라이프스타일 속 사용 장면’으로 접근하기
메타·구글 AI 학습을 위한 ‘제품 카테고리별 카탈로그’ 구성 필수
세 번째, 성과 측정의 어려움
스킨케어는 구매 전 고려 기간이 길고, 재구매까지 이어지는 ‘시간차 전환’이 많습니다.
즉, ROAS로만 효율을 판단하기 어려운 업종입니다.
초기에는 전환보다 브랜딩 + 트래픽 데이터 확보를 목표로 봐야 합니다.
GA4 기준, 신규 유입/재방문 비율과 페이지 체류시간을 함께 확인하기
메타 ASC(Advantage+) 캠페인으로 상위 퍼널 확보 후, 리타겟팅에서 ‘장바구니 진입’ 혹은 ‘회원가입’ 유도하기
마무리하며
스킨케어 광고는 단순히 “제품을 잘 보여주는 광고”가 아니라, “피부 고민을 가진 사람이 공감할 수 있는 경험”을 전달해야 효율이 납니다.
결국 핵심은 '데이터 기반 감성 커뮤니케이션’입니다.
지금 우리 광고가 정책에 막히거나 효율이 떨어진다면, 소재의 언어부터 타겟의 감정선까지 다시 한번 점검해보세요.
AI가 데이터를 학습하기 전에, 소비자는 감정을 먼저 학습합니다.
이 부분에서 도움이 필요하시다면 아래 번호로 언제든지 연락 주세요.
최선을 다해 상담 도와드리겠습니다.
Mail. row_98@ampm.co.kr
Tel. 02-6049-4648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