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티업종 T사 온라인 광고 성과 개선 사례 1탄
마케터 이미지
장소라 마케터
2025-11-05

조회수 : 56

댓글 0
안녕하세요 
광고 퍼포먼스 1본부 1팀 장소라 마케터입니다.

오늘은 제가 담당하고 있는 뷰티업종, 그 중에서도 스킨케어 제품을 판매하고 있는 T사 성과 개선 사례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먼저 광고주 님의 기본 정보부터 말씀드리겠습니다. 

월 예산 : 약 5,000,000원
매체: 네이버, 메타, 프로모션 한정 카카오 CRM 
목표 KPI: ROAS 개선 

브랜딩이 어느 정도 이뤄진 계정이었으며, 브랜드명과 더불어 브랜드 대표님께서 큰 유튜브 계정을 운영 중이신 브랜드였습니다.
따라서 브랜드 쿼리량 및 유튜버 이름의 쿼리량이 꽤 높은 브랜드였습니다.

기존 브랜드 검색 광고와 쇼핑 검색 광고 그리고 프로모션이 있을 시에만 메타를 진행하고 계셨습니다.

[쇼핑검색광고]

image.png기존 쇼핑 검색 광고에서는 ROAS가 70~140%까지 왔다갔다 하는 상황이였고 이 또한 자사명과 유튜버 이름으로 전환이 나고 있었습니다.

이미 자사는 모바일에서 브랜드 검색 광고를 운영 중이였고, 브랜드 검색 광고 내 키워드가 자사명, 자사명+제품명, 유튜버 이름 이렇게 등록이 되어있는 상태라 쇼핑 검색 광고가 의미가 없는 상황이었습니다.


따라서 저는 네이버 예산이 크지 않은 점과 뷰티업종의 키워드 입찰가가 비싼 점을 고려하여 SA는 브랜드 검색 광고만 진행하고 네이버 DA광고 즉 GFA를 제안드렸습니다.

GFA 중에서도 애드부스트 캠페인과 카탈로그 캠페인을 통해 전환율을 극대화 하고자 하였습니다.


먼저 애드부스트 캠페인은 별도의 타겟팅 없이 올 아이템 (6종)으로 광고를 집행하였고 현재까지 데이터로는 ROAS 517%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image.png


다음은 리타겟팅 기반의 카탈로그 캠페인을 통해 방문 고객을 대상으로 잠재고객을 설정하여 타겟팅을 진행하였습니다. 

모수 자체가 많은 편은 아니였기 때문에 

구매 30일 제외 / 장바구니, 방문, 찜 180일 포함  + 관심사 뷰티-> 메이크업/화장품, 구매의도 -> 뷰티 로 설정하여 올 아이템으로 광고를 진행하였습니다.

현재까지는 구매가 많이 일어나지는 않고 있지만 ROAS 155% 유지 중에 있습니다.

image.png

아직 2주 밖에 되지 않아서 2주 정도 더 모수를 쌓아본 후에 카탈로그 캠페인 내에서 잠재고객을 분리하여 운영 할 계획입니다.


네이버라고 해서 꼭 검색 광고만을 잡고 검색 광고만으로 성과를 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자사 상황에 맞게, 전체적인 데이터를 파악한 후 최적의 광고 방향성을 제시해드리는 것이 마케터의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광고 성과 개선과 관련하여 질문 및 문의 사항은 아래 댓글 또는 연락처로 문의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첨부 파일
마케터자격이수

같이의 가치를 실현하는 마케터

정확한 비즈니스 분석 ! 명확한 니즈 파악 !

이커머스 전문 트렌드에 발 빠르게 대응하는 마케터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과정을 함께하며 같이의 가치를 만들어가겠습니다.


댓글

0

마케팅 인사이트

전체 글 보기
데이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