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쟁사 소재 벤치마킹, 어떻게 활용해야 할까?
마케터 이미지
박준우 마케터
2025-09-04

조회수 : 58

댓글 0

광고주는 흔히 “경쟁사가 저런 크리에이티브를 쓰니 우리도 따라 해보자”라는 접근을 합니다. 그러나 경쟁사 소재 벤치마킹은 단순 모방이 아니라, 전략적 분석과 차별화 포인트 도출이 핵심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경쟁사 소재를 실무에서 올바르게 활용하는 방법을 다룹니다.


1. 경쟁사 소재 수집 경로 확보
페이스북 광고 라이브러리, 구글 애드 트랜스페런시 센터, 네이버 GFA 크리에이티브 갤러리 등을 통해 경쟁사 소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단순히 보는 것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정기적으로 아카이빙하여 카테고리별로 정리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2. 메시지 패턴 분석
경쟁사가 어떤 톤앤매너를 활용하는지, 혜택 중심인지 브랜드 중심인지, CTA는 어떻게 배치하는지를 패턴화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렌탈 업종 경쟁사가 “월 납부액 강조”에 집중한다면, 우리는 “총 소유 비용”이나 “업타임 관리”라는 다른 시각을 강조할 수 있습니다.

3. 포맷과 배치 전략 비교
동일한 메시지도 이미지·영상·네이티브 카드 포맷에서 반응률이 다르게 나타납니다. 경쟁사가 주로 활용하는 포맷을 확인한 뒤, 반대 지점을 공략하는 것이 전략적입니다. 예를 들어, 경쟁사가 모두 짧은 영상으로만 운영한다면, 장문의 사례 기반 콘텐츠로 차별화할 수 있습니다.

4. 시장 반응 지표 추정
광고소재의 좋아요·댓글·공유 수치를 단순 노출지표로 보는 것이 아니라, 관심과 의도 수준을 구분해 해석해야 합니다. 좋아요가 많아도 댓글이 없다면 관여도가 낮은 광고일 수 있습니다. 이 해석이 곧 전략 차별화의 단서가 됩니다.

5. 차별화 메시지 설계
벤치마킹의 목적은 경쟁사와 같은 메시지를 쓰는 것이 아니라, 다른 각도를 제시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경쟁사가 ‘가격 최저가’를 강조한다면 우리는 ‘서비스 품질 보장’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설계해야 합니다.


경쟁사 소재 벤치마킹은 모방이 아니라 학습 도구입니다. 수집-분석-비교-추정-차별화의 다섯 단계를 거치면 단순한 따라잡기가 아니라, 시장 속에서 브랜드를 차별화하는 전략을 만들 수 있습니다. 광고주라면 이제 경쟁사의 소재를 보는 눈을 ‘복사’가 아닌 ‘분석’으로 바꿔야 할 때입니다.

GAIQ구글애널리틱스

데이터로 대답하고, 성과로 약속합니다.

어느 분야에서도 '절대' 라는 단어는 없습니다.

    '절대' 값이 없는 마케터로  결과 달성이 아닌 꾸준한 성장을 추구합니다.

댓글

0

마케팅 인사이트

전체 글 보기
데이터가 없습니다.
광고상담은 채팅으로 문의하세요.
몇 분 내 답변 받으실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