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많은 커피 브랜드 중에서도 진짜 잘하는 커피 마케팅은 무엇이 다를까?

심수빈 마케터
2025-10-22
조회수 : 51
댓글 0
안녕하세요. 심수빈 AE입니다. 여러분은 커피를 한잔 마실 때 보통 어떤 소구점을 이유로 마시고 싶은 커피를 정하시나요? 오늘 여러분에게 소개드리고 싶은 마케팅 사례가 있습니다.
바로 '투썸플레이스' 입니다. 투썸플레이스는 아직 온라인 광고에 대한 특별한 기획 없이도, 차별화된 브랜딩과 각종 기획을 통해 호실적을 기록하고 있는 경쟁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잘 아시겠지만, 우리나라 '24~'25년 커피시장 규모는 10조 원으로 전세계 2위 수준으로 파악 됩니다. 커피 시장은 지속적으로 높은 성장세를 보이며, 지난 5년간 연평균 5%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언제나 주목받는 시장으로 자리매김 했습니다. 특히 온라인 시장에서는 간편 커피와 프리미엄 제품의 성장, 그리고 소비자들의 '집콕' 및 개인화 경험 선호에 따라 온라인 채널이 더욱 중요해질 전망 입니다. 그에따라 원두와 같은 프리미엄 제품의 온라인 구매가 늘고, 집에서 즐길 수 있는 RTD(Ready-to-drink)커피와 같은 간편 커피 제품의 온라인 성장이 가속화 될 것으로 보입니다.
포화상태이지만 스타벅스 코리아, 이디야, 메가커피와 같은 메이저 커피 브랜드들이 활약하고 있는 매력적인 국내 커피시장에서 투썸플레이스가 이토록 특별한 행보를 이어가고 있는 이유가 있다면 무엇일까요? 투썸플레이스는 지난해 매출 5200억원, 영업이익 32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8.3%, 25.2% 증가했습니다. 바로 그 이유는, 7초마다 한 개씩 팔린 투썸플레이스의 과일 생크림 케이크부터 시작되었습니다. 투썸플레이스는 해당 디저트 출시 이후, 현재까지 누적 판매량 120만 개를 만들었습니다. 이는 하루 평균 102만 개 이상, 약 7초마다 한 개씩 판매된 셈이라고 합니다. 이후 '금귤생', '피치생', '망고생'까지 지속적인 디저트 상품들은 출시 직후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중심으로 빠르게 입소문을 탔습니다. 결국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디저트와 함께 획기적인 기획을 이어간 결단력 때문은 아닌지라는 생각도 듭니다.
그렇지만, 결국엔 투썸플레이스도 간접적은 SNS 마케팅을 활용해 매출을 극대화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올 여름 선보인 말차 신제품 같은 경우는 간편 소비와 SNS확산에 유리하다는 배경이 탄탄하게 뒷받침 되고 있다는 사실 입니다. 체험 유도 → 재구매 → 관련 카테고리 매출 동반 상승이라는 윈윈 전략이 승리한 셈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결국엔 모든 영역에서의 디지털 마케팅이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들이 앞으로 우리 소비문화를 어떻게 만들어나갈지 모두가 눈여겨볼 주제라고 생각합니다.
잘 아시겠지만, 우리나라 '24~'25년 커피시장 규모는 10조 원으로 전세계 2위 수준으로 파악 됩니다. 커피 시장은 지속적으로 높은 성장세를 보이며, 지난 5년간 연평균 5%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언제나 주목받는 시장으로 자리매김 했습니다. 특히 온라인 시장에서는 간편 커피와 프리미엄 제품의 성장, 그리고 소비자들의 '집콕' 및 개인화 경험 선호에 따라 온라인 채널이 더욱 중요해질 전망 입니다. 그에따라 원두와 같은 프리미엄 제품의 온라인 구매가 늘고, 집에서 즐길 수 있는 RTD(Ready-to-drink)커피와 같은 간편 커피 제품의 온라인 성장이 가속화 될 것으로 보입니다.
포화상태이지만 스타벅스 코리아, 이디야, 메가커피와 같은 메이저 커피 브랜드들이 활약하고 있는 매력적인 국내 커피시장에서 투썸플레이스가 이토록 특별한 행보를 이어가고 있는 이유가 있다면 무엇일까요? 투썸플레이스는 지난해 매출 5200억원, 영업이익 32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8.3%, 25.2% 증가했습니다. 바로 그 이유는, 7초마다 한 개씩 팔린 투썸플레이스의 과일 생크림 케이크부터 시작되었습니다. 투썸플레이스는 해당 디저트 출시 이후, 현재까지 누적 판매량 120만 개를 만들었습니다. 이는 하루 평균 102만 개 이상, 약 7초마다 한 개씩 판매된 셈이라고 합니다. 이후 '금귤생', '피치생', '망고생'까지 지속적인 디저트 상품들은 출시 직후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중심으로 빠르게 입소문을 탔습니다. 결국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디저트와 함께 획기적인 기획을 이어간 결단력 때문은 아닌지라는 생각도 듭니다.
그렇지만, 결국엔 투썸플레이스도 간접적은 SNS 마케팅을 활용해 매출을 극대화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올 여름 선보인 말차 신제품 같은 경우는 간편 소비와 SNS확산에 유리하다는 배경이 탄탄하게 뒷받침 되고 있다는 사실 입니다. 체험 유도 → 재구매 → 관련 카테고리 매출 동반 상승이라는 윈윈 전략이 승리한 셈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결국엔 모든 영역에서의 디지털 마케팅이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들이 앞으로 우리 소비문화를 어떻게 만들어나갈지 모두가 눈여겨볼 주제라고 생각합니다.
광고 관련한 문의는 아래 번호로 언제든지 연락주세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
0
마케팅 인사이트
전체 글 보기 데이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