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팅 입문자를 위한 온라인 마케팅 기초 용어_2탄 (ROAS,ROI)
마케터 이미지
김상현 마케터
2024-07-10

조회수 : 1289

댓글 0


안녕하세요!  

광고퍼포먼스2팀 정윤서AE 라고 합니다!

지난 시간에 이어 온라인 마케팅 기초 용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오늘은 실무에서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용어인

ROAS(Return On Ad Spend) 와 

ROI(Return On Investemn)

에 대해서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1. ROAS(Return On Ad Spend) : 광고 수익률


광고가 얼마나 효과적인지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계산하는 방법은 매우 간단한데요.

바로 아래와 같은 공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매출/ 비용) × 100

예를 들어 해당 광고비용으로 100만원을 지출했고

광고 수익으로 500만원을 얻었다면

(500/100) × 100 = 500%

의 결과가 나오고 즉, ROAS는 5:1로 1원당 5원의 수익을 얻었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렇다면 ROAS는 어떤 특징이 있을까요?

1) 정밀한 키워드 분석

어떤 광고가 성공적이었는지 판단을 명확히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서로 다른 광고들과 성과를 비교하여 어떤 키워드에서 더 광고 효과가 있는지 분석할 수 있게 되는 것이죠.

2) 광고 예산 최적화

높은 ROAS는 수익률 또한 높다는 것을 의미하니 더 많은 예산을 산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ROAS가 낮은 광고의 경우 예산을 줄임으로써 광고비를 효율적으로 분배할 수 있습니다.

ROAS의 한계점


하지만 ROAS에는 분명한 한계점이 존재합니다.


1) ROAS가 무조건 높다고 좋은 것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A 회사 : 광고비 500만원으로 매출 5000만원 달성하면

(500/5000) × 100 = ROAS 1000% 달성

B 회사 : 광고비 1억원으로 매출 5억원 달성하면

(1억/5억) × 100 = ROAS 500% 달성

두 수치를 비교했을 때 A 회사의 광고가

더 효과적인 것으로 보이지만

실상은 B회사가 더 많은 매출을 얻은 것을 확인할 수있습니다.

따라서 광고 예산을 최대로 증액해

순이익을 최대한 높은 금액으로 발생 해야 합니다.


2) ROAS의 수치는 유지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광고 예산을 계속 증액한다고 해서

계속 순이익이 상승하는 것은 아닙니다.

이번 달 ROAS가 1000% 달성했다고 해도

다음 달 ROAS 또한 1000%를 달성한다는 보장은 없는 거죠.

매출과 광고비는 절대로 정비례가 아니며

어떤 업종이던 ROAS는 언제나 바뀔 수 있는 가변성을 띤다는 의미입니다.

이런 광고 예산 한계점을 인식하며

ROAS에만 의지하는 것이 아니라

1탄에서 설명드린 CPC, CPA 등을 파악하고

데이터 분석을 하시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2. ROI(Return On Investemn) : 투자이익률


두 번째로 소개해 드릴 마케팅 용어는 ROI입니다.

ROI란 투자한 자본에 대해

얼마나 많은 수익을 얻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주로  광고 마케팅 활동의 성과를 평가하는 데 자주 사용되는데요.

계산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ROI=  (순이익/투자금액) × 100


예를 들어 한 기업이 제품 광고비용으로 1000만원을 지출했고

광고 수익으로 3000만원을 얻었다면

(3000-1000)/1000 × 100

의 결과가 나오고 즉, ROIS는 200%의 수치가 나오게 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ROI는 어떤 특징이 있을까요?

1) 세부적 매출 판단

ROI는 순이익 비율을 파악할 수 있는 지표로

광고를 이행할 시 총 얼마만큼의 이익이 발생했는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2) 다양한 광고 매체 분석

홈페이지, MATA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광고를 한 후 수익을 비교하여 분석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각 매체별로 효율성 비교하고, 광고 예산을 효율적으로 배분할 수 있습니다.

ROI의 한계점


ROI 또한 ROAS처럼 한계점이 존재합니다.

바로‘비교의 한계’인데요.

ROI는 특정 제품의 재무적 수익률을 계산하는 데에는 유용하지만

비재무적인 시장의 상황 변화나 경쟁 업체의 활동, 소비자의 행동 변화 등을

모두 계산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3. ROAS VS ROI의 차이점

그렇다면 언뜻 비슷해보이는 ROAS와 ROI의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ROAS = 광고비용 지출 대비 특정 광고의 직접적인 수익률을 파악하는 지표

ROI = 모든 투자 비용을 고려한 후 전체 마케팅에서 얼마나 많은 이익률을 얻었는지 파악하는 지표

즉 ROAS는 수익에 초점을 두었기 때문에

마케팅에 들어간 원가,인건비를 고려하지 않은 광고 수익률을 말하는것이고

ROI의 경우순이익에 초점을 두었기 때문에
투자 대비 최종 이익률 말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ROAS와 ROI 중 한 가지만 사용할 경우 정밀한 데이터 분석에 한계가 오고

최종적으로 광고 예산을 비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두 가지 지표를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마케팅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볼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온라인 기초 마케팅 용어 ROAS와 ROI를 살펴보았는데요.

제 정보가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다음 시간에도 더욱 유익한 정보로 찾아뵙겠습니다.




더 궁금한 사항이나 광고 문의를 원하신다면?


Contact02-6049-4156


E-mailles@ampm.co.kr


 OPENCHAT  https://open.kakao.com/o/svinFSBg


검색광고마케터1급GAIQ구글애널리틱스SNS광고마케터

확실한 성과와 결과를 원하신다면! 저와 함께 하세요

ROAS 최대 10배 개선, 5,000%이상 달성 
DB단가 절감 50% 이상, 성과 효율 개선 레퍼런스 보유 多

sanghyun.k@ampm.co.kr
02-6049-4030

댓글

0

마케팅 인사이트

전체 글 보기
데이터가 없습니다.
광고상담은 채팅으로 문의하세요.
몇 분 내 답변 받으실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