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릭에 비해 저조한 전환, 문제는 '이것' 때문이다
.png)
조현영 마케터
2025-04-24
조회수 : 1437
댓글 0
안녕하세요
AMPM 글로벌 조현영 마케터입니다.
오늘은 노출과 클릭은 많은데 전환이 없는 검색광고에 대해 말씀드리려고 합니다.
1. 이런 상황, 왜 자주 생길까요?
보통 광고와 실제 랜딩페이지, 제품, 구매 구조 사이의 연결 고리가 약할 때 생깁니다.
만약 그런 상황이라면 현 상황을 체크해보세요.
유형 | 원인 설명 |
검색어-랜딩 불일치 | 광고 키워드는 '수영복 추천'인데 랜딩은 전체 상품 리스트로 연결. |
랜딩 동선 미흡 | 클릭 후 진짜 사고 싶은 제품까지 가는 길이 너무 멈. |
구매유도 요소 부족 | 가격 정보 없음, 혜택 없음, 후기 없음, 설득 요소 없음 |
경쟁상품과 비교 약점 | 클릭한 뒤 경쟁사랑 비교했을 때 매력도 부족 |
구매 의사 타이밍 미스 | 지금은 정보 탐색 단계인데, 바로 구매 유도만 있음 |
2. 개선하는 방법 (ex. 의류브랜드)
(1) 검색어에 맞는 '랜딩 일치'
* 구체 키워드일수록 맞춤형 랜딩 필요
ex. 하이웨스트 검색 -> 해당 카테고리 또는 제품으로 바로 연결
* 검색 키워드 별로 UTM or 전용 페이지 세팅 추천
(2) 첫 화면에서 '신뢰성' 느낌
* 주요 USP 강조
* 후기 / 리뷰 / 시각화, 실착 이미지 바로 노출
* 상품 비교표, 혜택 뱃지 활용 -> 설득력 강화
(3) 타겟별로 동선 세분화
* 관심 많은 사용자에게는 스타일 추천
* 구매 의사 높은 사용자에게는 가격/후기/혜택 중심 페이지
+ 랜딩페이지 컨디션 개선
* 광고를 보고 들어왔으나 랜딩페이지 컨디션이 별로면 구매 욕구 떨어짐.
* 구매하러 가기까지의 클릭이 많으면 구매 욕구 떨어짐.
* 간편회원가입 서비스 없으면 구매 확률 떨어짐.
=> 랜딩페이지의 컨디션에 따라 전환이 달라짐.
오늘은 클릭에 비해 저조한 전환에 대한 개선방안을 말씀드렸습니다.
네이버 광고에 대해 궁금하신 점은
1:1 문의로 편하게 남겨주세요
댓글
0
마케팅 인사이트
전체 글 보기 데이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