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이 줄어든 가구업체를 위한 광고전략 총정리
마케터 이미지
신솔아 마케터
2025-06-26

조회수 : 329

댓글 0

대표님! 이제는 상황에 맞는 광고가 필요한 때입니다


가구업은 단가가 높은 대신 구매 주기가 길고,

외부 이슈나 계절 변화에 따라 매출 기복이 큰 업종입니다.


최근 경기 침체와 소비 위축 속에서

“방문은 많은데 매출이 안 나온다”, “광고는 하고 있는데 효과가 없다”

는 고민을 가진 가구 브랜드들이 늘고 있습니다.


광고주님의 성과에 도움이 되길 바라며, 

이 글에서 가구업체 매출 하락 원인을 진단하고, 실제 광고 성과를 높일 수 있는 전략

광고 매체별로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추가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문의 주세요! 







1. “제품은 좋은데, 노출되지 않는다”

검색광고 점검부터 시작하세요


[증상]


  • 스마트스토어/자사몰에 제품이 많지만 유입이 없다.

  • 브랜드명 검색 외 유입 키워드가 거의 없다.

  • 클릭은 있어도 매출로 이어지지 않는다.

[전략]


  • 쇼핑검색광고: '2인용 소파 추천', '거실 원목 테이블' 등 세분화 키워드 중심 집행

  • 파워링크 검색광고: ‘지역명+가구’ 키워드로 방문 유도 + 키워드에 맞는 이미지 배치  

  • 브랜드검색광고: SNS/블로그 유입 후 재검색하는 고객 대상 확보

[포인트]


  • 제품명/카테고리/속성 키워드 최적화 필수

  • 감성 문구보다 ‘사이즈+재질+스타일’ 중심 상품명이 전환에 유리합니다.




2. “고객이 장바구니만 넣고 안 산다”

GFA 리타겟팅 구조를 확인해주세요





[증상]


  • 장바구니/상세페이지 유입률은 높은데 결제가 안 이루어집니다.

  • 프로모션을 진행해도 이탈률이 높습니다.


[전략]


  • GFA 카탈로그 광고: 장바구니/상세페이지 이탈 고객에게 상품 단위로 자동 리타겟팅

  • GFA 타겟 세분화: 최근 방문자 / 장바구니 담은 고객등 구간별 테스트


[포인트]


  • GFA는 검색광고와 결합할 때 효과가 늘어납니다.

  • 상세페이지도 중요: 혜택 요약, 구매 유도 배너, 후기가 핵심입니다.



3. “광고비는 쓰는데 성과가 그냥 안나온다.”

광고 데이터 기반 전략 리뉴얼이 필요합니다.



[증상]


  • 광고 키워드가 1만 개 이상인데 관리되지 않고 있음

  • CPC(클릭당 단가)는 낮지만 전환률은 0%

  • 전체 광고 구조가 무너져 ROI 추적이 어려움

[전략]


  • 광고그룹 재정비: 제품군별 광고 그룹을 분리합니다. (ex. 소파/테이블/수납장 등)

  • 고성능 키워드 우선 테스트: 세분화 키워드 + 적정 입찰가로 단기 성과를 측정합니다.

  • 전환 추적 태그 설치 필수: 구매, 장바구니, 페이지 체류 데이터를 확보해야 합니다.

[포인트]


  • 광고의 양보다 데이터 관리 가능한 구조가 중요합니다.

  • 클릭은 ‘비용’, 전환은 ‘성과’입니다. 성과 중심으로 구조를 전환해야 합니다.





4. “유입 이후 반응이 없다.”

소구 문구와 랜딩 페이지 전략



[증상]


  • 클릭은 있지만 상품과 연결이 약해 이탈이 많음

    • 광고 문구가 너무 추상적인 경우가 많습니다.

      (ex. 감성 인테리어, 우리 집을 위한 가구)


[전략]


  • 광고 문구는 ‘문제+해결’ 구조로 작성해야 합니다.

    • 예: “1인 가구 맞춤형 컴팩트 소파”, “작은 거실도 넓어 보이는 테이블”

  • 랜딩 페이지 최적화: 구매 포인트 요약 / 배송·교환 안내 / 후기를 앞에 배치해주세요.

    이 때 넣을 후기가 없다면, 바이럴 마케팅을 선행하는 게 유리할 수 있습니다.

    (가구 업종은 후기 참조를 하는 고객들이 많기 때문에 바이럴 마케팅이 효과적입니다.)


[포인트]


  • 키워드 클릭 유도보다 “전환을 위한 구매 설득”이 핵심

  • 고객이 이탈하지 않도록 정보 밀도 높은 첫 화면 구성 필요





5. 예산이 적어서 광고 집행을 못하겠다.


가구 업종은 클릭 단가가 높은 편이지만,

그렇다고 소규모 사업자가 광고 성과를 못 내는 것은 아닙니다.

핵심은 소규모 예산을 어떻게 집중적으로 써야 하는가입니다.


  • 50만 원 미만 예산 → 지역 키워드 파워링크 + 리타겟팅

  • 50만 원 이상 예산 → 쇼핑검색광고 + GFA 병행

  • 100만 원 이상 예산 → 전체 퍼널 기반 전략: 검색 → GFA → DA/브랜드


    우리 브랜드 상황에 맞춰

    메타 이미지 광고, ADN, 구글 GDN 등을

    병행할 수도 있구요.


    매출 여유가 있어서 마케팅을 하는 것이 아니라

    매출을 위해 마케팅을 미리 하는 거라서

    현재 예산으로 집행 가능한 항목을

    미리 진단 받아보시는 게 중요합니다.







끝으로


매출은 ‘노출’보다 ‘구조’에서 결정됩니다

지금까지의 광고가 효과가 없었다면,
광고 자체의 문제가 아니라 “운영 구조”의 문제일 수 있습니다.

효과적인 키워드 구성,
리타겟팅 구조, 실용적인 문구 설계만으로도
매출은 충분히 다시 오를 수 있습니다.

가구업은 제품이 많고 고객군이 다양합니다.

그렇기에 전략 없이 광고만 돌리는 것은 예산 낭비에 가깝습니다.


지금이 바로, 광고 전략을 다시 짤 타이밍입니다.


대표님의 광고, 지금 어디에 있나요?

– 점검부터 시작하세요!




TEL 02-6049-4628


MAIL : ssa9206@naver.com


감사합니다.



마케터자격이수

브랜드 맞춤 컨설팅 제가 도와드릴게요!

맞춤 브랜딩, 
성과개선 전문 마케터 신솔아입니다. 
언제든 문의 주세요!

댓글

0

마케팅 인사이트

전체 글 보기
데이터가 없습니다.
광고상담은 채팅으로 문의하세요.
몇 분 내 답변 받으실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