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세대는 브랜드를 소비하는 게 아니라 연기한다 !
마케터 이미지
양세준 마케터
2025-07-14

조회수 : 219

댓글 0

브랜딩은 다른 세계로 진입하는 것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은 더 이상 일방적 메시지 전달의 문제만은 아닙니다.

특히 Z세대 타겟팅에서는 브랜드를 ‘인지’시키는 것보다, 브랜드 안으로 들어오게 만드는 몰입 구조를 만드는 것이 핵심 과제입니다.


Z세대는 브랜드를 단순한 제품이나 서비스를 넘어 디지털 세계 속 하나의 역할극 무대 같이 받아들입니다.

그리고 그 안에서 소비자는 단순 수용자가 아닌 '자기 서사의 창작자’로 행동합니다.

이는 팬덤, 밈, 챌린지, 후기 콘텐츠, DIY 등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됩니다. 이 흐름에서 브랜딩은 참여를 위한 구조 설계가 됩니다.


몰입형 브랜딩의 핵심: 인터랙션 기반 역할 설계

몰입형 브랜딩은 크게 네 가지 축으로 설계할 수 있습니다.

각각은 브랜드에 대한 인식이 행동으로 이어지는 구조입니다.


콘셉트 중심 커뮤니케이션

브랜드의 물리적 특징(제품, 혜택)을 넘어서 정체성이 분명해야 합니다.

<이 브랜드는 어떤 세계관에 속한 누구처럼 말하는가> 라는 캐릭터 중심 브랜딩 구조가 필요합니다.

몰입형 세계관 설계

사용자 입장에서 진입 가능한 공간, 규칙, 서사 구조가 있어야 합니다.

마치 게임처럼 어디서 시작하고, 무엇을 선택할 수 있으며, 어떤 참여가 가능한지를 설계합니다.

인터랙션 유도 콘텐츠

콘텐츠는 ‘보는 것’이 아니라 ‘행동하게 만드는 것’이어야 합니다.

직접 만들기, 참여하기, 리믹스하기 쉬운 구조가 중요합니다 (ex. 틱톡 필터, 밈 포맷, 미션 챌린지).

노출보다 ‘연기’를 유도하는 유통 구조

브랜드 메시지를 그대로 전달하는 대신, 유저가 자기 방식으로 각색하여 표현할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합니다.

이는 브랜드가 플랫폼의 언어(밈, 유행 포맷 등)를 이해하고, 이를 스스로 활용하게 유도할 수 있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실제 사례로 본 몰입 구조 설계

ADER(아더에러) – 고의적 해독불가: 참여형 해석 게임

캐릭터 중심 + 불친절한 세계관

모든 콘텐츠는 일관된 ‘외계적 미학’을 유지하고, 설명은 없습니다.

유저는 브랜드 룩북, 영상, SNS 콘텐츠를 직접 해석하고, 이를 밈/후기로 재구성하며 팬이 됩니다.

정보 전달을 생략함으로써 ‘해석 욕망’을 자극 → 팬이 브랜드의 언어를 스스로 만들어냅니다.


노티드(Knotted) – 감성 캐릭터 중심의 다층적 접점 설계

  • 캐릭터 중심 인터랙션 + 공간 기반 콘텐츠 노출

  • 매장마다 다른 무드, 굿즈 중심의 캐릭터 세계관, 자발적 리그램 유도 스팟을 조성합니다.

    “노티드에 간다”는 건 곧 “콘텐츠화 가능한 장소로 간다”는 의미가 됩니다.

  • 공간 = 콘텐츠 생산지 → 오프라인 공간도 SNS 유통 구조의 일부로 기획합니다.


    29CM – 브랜드 세계관 큐레이터로서의 포지셔닝

    • -브랜드 스토리 + 인터뷰 + 취향 기반 몰입 콘텐츠 큐레이션

    • -29CM는 단순 상품 판매가 아니라 브랜드를 소개하는 방식 자체에 세계관을 입힙니다.

      Z세대는 이를 통해 브랜드에 ‘접속’합니다.

    • -콘텐츠 플랫폼화 → 브랜드가 아닌 브랜드 콘텐츠가 소비 욕망을 자극합니다.


      실무 설계에 적용

      몰입형 브랜딩 전략은 B급 콘텐츠나 재미요소 이상의 구조적 설계가 필요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캠페인 기획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 브랜드 톤을 ‘화자 캐릭터’로 구체화
        브랜드가 사람처럼 말하도록 설정하라. 일관된 말투, 세계관, 상황 반응으로 소비자와의 상호작용을 만들어야 합니다.


      • 참여 가능한 콘텐츠 프레임 설계
        챌린지/룩북/상황극/UI 편집 등 소비자가 개입할 수 있는 포맷을 기획하라. 정답이 없는 콘텐츠가 더 많이 확산됩니다.


      • 해석 가능한 단서(ambiguity) 남기기
        과잉 설명은 참여 욕망을 줄인다. 일부는 의도적으로 비워두고, 소비자가 그것을 채우는 구조를 만들어야 합니다.


      • 상품 중심 UX → 세계관 중심 UX 전환 고려
        상품 소개보다는 브랜드 정체성으로부터 시작해, “이걸 왜 사고 싶은지”에 대한 서사를 먼저 보여줘야 합니다.


        브랜드는 플랫폼, 소비자는 연기자

        Z세대는 브랜드를 읽지 않습니다.

        그들은 브랜드를 연기하고, SNS에서 자기 시점으로 표현합니다.
        우리가 만들어야 할 것은 정보 중심 브랜딩이 아니라, 몰입 가능한 구조, 참여 가능한 인터페이스, 그리고 각색 가능한 콘텐츠입니다.






검색광고마케터1급GAIQ구글애널리틱스마케터자격이수

그러니까효율이 안나오지

GA도 못보고, GTM도 못보고, GTO도 못보고 ... 
데이터를 못보는데 대체 어떻게 광고를 합니까.....

언제까지 감으로 광고 하실래요? 

댓글

0

마케팅 인사이트

전체 글 보기
데이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