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예산을 시간대별로 재배분해 ROAS를 높이는 실전 전략
마케터 이미지
박준우 마케터
2025-08-14

조회수 : 173

댓글 0

광고 예산 최적화라고 하면 흔히 캠페인·광고 세트 단위의 재배분만 떠올리지만, 시간대별 예산 조정은 생각보다 강력한 ROAS 개선 수단입니다. 특히 전환 집중 시간이 뚜렷한 업종에서는 단순히 예산을 더 쓰는 것보다 ‘언제 쓰는지’를 바꾸는 것이 효율에 큰 영향을 줍니다. 이번 글에서는 시간대별 예산 재배분의 원리, 데이터 분석 방법, 그리고 실무 적용 전략을 구체적으로 설명합니다.

fa29a5cd-10d1-437b-8900-433e8c5e6587.png



1. 시간대별 성과 데이터 확보가 우선
시간대별 예산 전략의 출발점은 ‘언제 전환이 발생하는지’에 대한 데이터 확보입니다.

  • 네이버 SA, GFA, 구글 Ads, 메타 Ads 모두 시간대별 리포트 기능을 제공합니다.

  • 단, 클릭 기준과 전환 기준 데이터를 함께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클릭은 낮에 몰려도, 전환은 저녁이나 새벽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최소 2~4주간 데이터를 수집해야 시간대별 패턴이 안정적으로 보입니다.

2. 고효율 구간 vs 저효율 구간 분리
데이터를 기반으로, 전환율이 평균 대비 높은 시간대를 고효율 구간, 낮은 시간대를 저효율 구간으로 나눕니다. 예를 들어, 한 리드 업종에서 1012시와 1922시가 고효율 구간이라면, 이 구간의 예산을 강화하고 나머지는 최소화합니다. 단, 저효율 구간이라도 신규 유입 확보가 필요한 경우에는 100% 차단하지 않고 최소 예산을 유지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3. 플랫폼별 시간대 예산 조정 방법

  • 네이버 SA: 광고관리자 ‘운영시간 설정’에서 광고 노출 시간을 직접 지정 가능

  • 구글 Ads: ‘광고 일정’ 기능을 통해 시간대별 입찰 조정(Bid Adjustment) 가능

  • 메타 Ads: 자동화 규칙을 활용해 특정 시간대에 캠페인을 ON/OFF 가능
    시간대별 조정은 예산뿐 아니라 입찰 전략과도 연결되기 때문에, CPA 또는 ROAS 목표 캠페인의 경우 최소 학습량 유지 여부를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4. 예산 재배분 시 유의할 점
시간대별 예산 조정은 데이터가 많을수록 안정적으로 적용됩니다. 하루 전환이 5건 미만인 경우, 시간대별 성과 차이가 우연일 가능성이 높아 조심해야 합니다. 또한 한 번에 전체 시간을 재구성하기보다, 상위 2~3개 고효율 구간부터 점진적으로 강화하는 방식이 안전합니다. 너무 급격한 변화를 주면 머신러닝 기반 캠페인은 학습이 초기화될 수 있습니다.


시간대별 예산 재배분은 추가 예산 없이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가장 단순하지만 강력한 방법입니다. 다만, 적용 전 반드시 충분한 데이터 확보와 패턴 검증이 필요합니다.
현재 캠페인의 시간대별 전환 데이터를 분석하고, 최적 예산 배분안을 설계해 드릴 수 있으니 필요하시면 연락 주세요. 하루 같은 예산으로 더 많은 매출과 리드를 만드는 방법을 함께 찾아드리겠습니다.

GAIQ구글애널리틱스

데이터로 대답하고, 성과로 약속합니다.

어느 분야에서도 '절대' 라는 단어는 없습니다.

    '절대' 값이 없는 마케터로  결과 달성이 아닌 꾸준한 성장을 추구합니다.

댓글

0

마케팅 인사이트

전체 글 보기
데이터가 없습니다.
광고상담은 채팅으로 문의하세요.
몇 분 내 답변 받으실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