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대표님, 네이버 광고 품질 지수 어떻게 높이시나요?
네이버 노출순위를 결정하는 요소 중 하나인 “품질지수”
그렇다면 품질지수는 어떻게 높일까요?
인기도/신뢰도/적합도 세 분야에 따라 결정됩니다.
★인기도 세부 요소 분류
1. 리뷰 개수
많은 리뷰 = 사용자가 실제로 구매 후 피드백을 남겼다는 신호
클릭 → 구매로 이어진 경험치가 누적되면 광고 클릭 후 전환 가능성 ↑ → CTR과 ROAS 모두 안정적
특히 “리뷰 100+” 같은
문구는 소재 카피에도 활용 가능 → 클릭 유도 효과 큼
2. 찜하기 개수
직접적인 구매는 아니지만, “구매 의향”을 드러내는 지표
네이버는 찜하기 많은 상품 = 잠재 수요가 높은 상품으로 간주 → 알고리즘 상 노출 우대 가능
광고 효율 측면에서는 CTR 자체보다는 랜딩 전환율 개선 요인으로
작용
3. 장바구니 개수
구매 전환 직전 단계의 확실한 “강한 관심도” 지표
광고주 입장에서는 장바구니 추가율이 높은 상품일수록 전환 퍼널이 짧음 → 품질지수에도
긍정적
장바구니 담김이 많으면 랜딩페이지 경험 자체가 “신뢰성 ↑”으로 반영
4. 구매수
가장 직접적이고 강력한 인기도 지표
네이버 알고리즘은 “많이 팔리는 상품 → 더 보여줄수록 클릭/구매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
광고 CTR뿐 아니라, 클릭
이후 전환율 상승 → 품질지수 가산점으로 직결
5. 평점
사용자의 신뢰와 직결 (4.7 이상
→ 우수 상품, 4.5 이하 → 이탈률 ↑)
평점이 낮으면 클릭률이 상승해도 이탈률이 높아져 품질지수에 부정적
6. 트래픽 양(자체몰·스마트스토어 유입량)
광고 외부/자연 유입도 많을수록 브랜드 인지도 가산점으로 작용
트래픽이 안정적으로 많은 계정은 광고를 집행해도 반응이 보장된다고 네이버가 판단
결국 광고 효율(CTR, 전환율)에
선제적 가점 효과
7. 유입량(광고+검색 통한 방문자 수)
특정 키워드에서 반복적으로 유입되는 패턴은 “해당 키워드와 상품의
강한 연관성”을 보여줌
이는 곧 적합도 + 인기도 동시 강화 요인
★ 신뢰도 (스토어/상품
신뢰성 평가)
1. 알림받기, 쿠폰설정, 구독, 알림설정 등
스토어 찜·알림받기 설정이 많으면 충성고객층이 확보된 것으로 간주
“재구매 가능성이 높은 스토어” → 광고 신뢰도 상승 가점
발급/사용 가능한 쿠폰이 있으면 구매 전환율↑
2. 카테고리 설정
상품 등록 시 올바른 카테고리에 노출되어야 함
잘못된 카테고리 = “낚시성/혼동”으로 간주되어 신뢰도 하락
3. 상품 부가정보 입력
KC 인증, 원산지, 성분, 규격, 제조사
등 상세 기재 여부
필수 정보 누락 시 스토어 신뢰도 ↓, 광고 효율에도 악영향
4. 상품명과 실제 상품 일치 여부
상품명에 과도한 키워드 삽입/과장 시 패널티 가능
실제 이미지/상품과 불일치 → 이탈률↑ → 신뢰도 ↓
5. 최신성 로직
최근 등록/업데이트 상품일수록 네이버가 가산점 부여
구형 상품·미 업데이트 스토어는 노출 경쟁에서 밀릴 수 있음
★ 적합도 (광고-상품
매칭 평가)
1. 상품명 로직
검색 키워드와 상품명이 얼마나 직접적으로 매칭되는지
“두유제조기” 검색 → 상품명에 반드시 “두유제조기” 포함 필요
불필요 키워드 나열 시 적합도 ↓
2. 스마트스토어 여부
스마트스토어 입점 시 네이버 내 검색·광고 알고리즘과 완전 연동
자사몰 단독 운영보다 스마트스토어 활용이 적합도 측면에서 유리
3. 패널티 여부
낚시성 키워드, 허위 과장 문구, 반품/CS 문제로 제재 시 → 광고 노출 제한
패널티 기록이 있으면 적합도 점수가 낮아짐
4. 배송 조건
빠른 배송, 무료배송, 네이버페이
연동 여부 = 적합도 가산점
배송 지연/불만 리뷰 많으면 적합도↓
5. 스마트스토어 여부(강조)
특히 “네이버쇼핑 검색광고”에서는
스마트스토어 기반이 기본 평가 대상
스마트스토어 미운영 시, 적합도 점수에서 손해 볼 수 있습니다.
광고로 소비자 사로잡는 마케터와 함께하세요.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