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AMPM글로벌 양재현입니다.
이번 9월부터 11월 간의 제철 상품을
1) 신규 세팅 및 2) 추가 의뢰 내용들이
어떻게 진행과 성과를 내는지 공유드리려합니다.
- 운영 매체 : 네이버 검색광고
- 실제 월 사용 예산 : 200만원 -> 177만원 (광고비 절감)
■ 광고주 정보
<신규 의뢰 내용>
- 9-11월 광고 KPI : 현 제철 상품으로 매출 2,000만원 달성
- 운영 매체 : 네이버 검색광고 (쇼핑검색+파워링크)
- 월 예산: (전월 대비 증액) 300-400만원
[성과사례 인사이트]
<클릭> 다섯번째 글 : 협업 1개월 만에 매출 KPI를 달성할 수 있을까? - 수산물 업종 S사 성과 사례
<클릭> 네번째 글 : 수산물 업종 8월 성과 미리보기 - 수산물 업종 S사 성과개선 사례
<클릭> 세번째 글 : 제품 원가 상승 시 대응하는 방법 - 해산물 업종 S사 성과개선 사례
<클릭> 두번째 글 : 클릭률 1% 개선하면, 다음은 000입니다.
<클릭> 첫번째 글 : 해산물 업종 S사 성과개선 사례
[관련 인사이트]
<클릭> 제철 해산물 제품으로 네이버 검색광고, 매출 상승시킨 비결
<클릭> 제철 참소라 브랜드 알리기 - GFA(성과형 디스플레이 광고) + Meta 활용
■ 신규 세팅 간 중점 포인트
1) 파워링크 추가 세팅
9월부터 추가 요청주셨던 내용은
제철 상품의 파워링크 노출이었습니다.
그래서 주력 제품들의
메인 키워드 노출 현황을 파악한 뒤,
진행 여부를 결정하게 되었습니다.
<진행 가능한 키워드 - 스마트스토어처럼 커머스 상품 노출>
반대로 수산물 제품 키워드 중
상품이 아닌 네이버 플레이스 기반으로
노출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키워드는 제외 후,
효과적으로 전환이 가능한
키워드를 선정하여 파워링크를 진행합니다.
<진행 불가 키워드 - 플레이스 기반의 키워드>
2) 쇼핑검색 입찰가
전달에는 예산이 빠듯하여
입찰가 조정이 불가피했지만,
이번 달부터 예산이 증액되면서
오히려 입찰가를 낮췄습니다.
왜냐하면 신규 세팅한 광고 중,
일예산이 빠르게 소진되는 현상 때문입니다.
그래서 입찰가를 하향 조정하면서,
다음 내용과 연결된 전략을 사용중입니다
3) 시간대 타겟팅

사실 마케팅에는 정답은 없지만, KPI 달성이라는 답을 위해
데이터 및 시장 현황을 직접 확인하면서 끊임없이 가설들을 도출해야합니다.
그리고 현실 가능성을 판단하여 진행하고, 만약을 대비하는 방안 또한 준비되어야 합니다.
저와 같이 1) 능동적인 태도와 2) 업종에 대한 이해도 및 경험이 있는 마케터와의 협업은
브랜드의 매출 증대와 지속 가능한 성장으로 함께 나아갈 수 있습니다.
자세한 문의는 하기의 내선번호나 양재현 마케터 페이지를 통해
연락주시면 컨설팅 진행 도와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