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2030세대를 중심으로 아웃도어 활동과 등산을 즐기는 인구가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관련해서는 현재 네이버의 쿼리량을 통해서도 보면, 8월을 기점으로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죠
이점으로 본다면, 지금이 가장 성수기! 인 건데요,건강 관리와 여가 생활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는 등산·트레킹 문화가 빠르게 확산되면서 관련 용품에 대한 수요도 크게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이를 잘 보여주듯 다양한 아웃도어 브랜드들이 앞다투어 등산가방·등산화·웨어 등 전문 제품을 출시하고 있으며, 광고 역시 점점 늘어나고 있는데, 이럴때 우리 광고는 레드오션에 빠진 건 아닌지 확인해보셔야하죠
따라서 단순히 광고를 집행하는 것만으로는 눈에 띄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그렇기에 지금 필요한 것은 바로 효율적인 광고 운영 전략인데요.
특히 등산가방처럼 비교 검색이 활발한 제품군에서는 소비자가 한 번의 광고 노출만으로 구매를 결정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검색광고 매체와 배너매체를 함께 활용해 다각도로 소비자를 공략하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치열한 아웃도어 용품 시장 속에서 등산가방 브랜드는 어떻게 광고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을까요? 일단 저는 크게 이렇게 구성해보겠습니다
1. 네이버 SA(파워링크): 구매 의도가 뚜렷한 검색 고객 즉시 공략
2. 브랜드검색 광고: 브랜드 신뢰도 강화 및 공식 채널로 유입 유도
3. 메타(인스타그램·페이스북): 라이프스타일 기반 관심사 타깃팅으로 등산·여행을 즐기는 2030세대 도달
4. 네이버 GFA(배너형): 리타깃팅 및 전환 최적화
그 중에서도 우리 브랜드는 스마트스토어가 강점이다? 라면 아무래도 네이버 매체에 집중하는게 좋겠죠. 그 중에서도 저는 이 GFA가 필요한 이유에 대해서 말씀드려볼게요
2. GFA가 꼭 필요한 이유
네이버 GFA는 단순 배너 광고가 아니라, 스토어 카탈로그 연동과 리타깃팅이 가능한 점이 가장 강력합니다.
-
리타깃팅: 장바구니에 담아두고 구매하지 않은 고객을 끝까지 따라다니며 우리 브랜드를 노출 → 망설이는 고객을 전환으로 끌어오기
-
다차원 보고서 분석: 종종 ‘-’ 기호로 표시되는 유입은 검색 이외의 노출 지면에서 발생한 구매를 의미
→ 이 구간에서 전환율/ROAS가 높다면, 이탈 고객을 다시 우리 스토어로 유도할 수 있는 GFA 활용 필요
3. GFA 활용 전략 제안
-
전환 캠페인
-
배너 이미지를 활용해 관심사·구매의도 타깃팅
-
쇼핑검색광고보다 세밀한 타깃팅 가능
-
디자인적 화려함보다 소비자를 끌어들이는 후킹 문구가 더 중요
-
-
카탈로그 캠페인
-
특정 상품에 반응한 고객에게 카탈로그형 광고를 반복 노출
-
노출 지면: 네이버 쇼핑탭, 쇼핑홈, 장바구니, PC 메인, 뉴스홈·기사면 등
-
구매 직전 고객에게 최적화된 광고 방식
-
검색 매체(SA·브랜드검색)로 즉시 전환 고객 확보
-
메타 광고로 관심사 기반 신규 고객 유입
-
GFA로 이탈 고객 재타깃팅 → 최종 전환 극대화
이 조합은 단순히 노출을 늘리는 것이 아니라, 소비자의 구매 여정을 단계별로 공략하여 광고 효율을 극대화하는 전략인 만큼, 우리 브랜드에 맞는 전략으로 적용하신다면 충분히 다른 데이터를 확인하실 수 있을겁니다
자세한 컨설팅이 필요하시다면? 김가경 AE에게 문의하기 >>> 02-6049-4215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