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애즈 '전환' 뒤에 소수점이 왜 나오나요?
마케터 이미지
황준호 마케터
2025-09-15

조회수 : 75

댓글 0
안녕하세요.  
AMPM Global 광고퍼포먼스 2본부 1팀 황준호 AE입니다 :)  

구글 애즈 보고서를 보다 보면, 가끔 “전환이 1.23으로 찍혀 있다”거나 “0.75 전환이 나왔다”는 걸 보신 적이 있을 겁니다. 평소에는 1, 2처럼 정수로만 나오는 게 익숙하다 보니 당황할 수 있는데요. 
사실 이 현상은 구글 애즈의 전환 측정 방식 때문입니다.  

image.png

*구글애즈 : 목표- 측정-기여분석  에서 확인 하실수 있으며, 전환에 대한 기여도를 설정 하실 수 있습니다.

1. 전환 기여 모델 때문  
구글 애즈는 단순히 마지막 클릭에 전환 100%를 몰아주지 않습니다. 특히 데이터 기반 기여(Data-Driven) 모델을 쓰면, 한 사용자가 여러 캠페인을 거쳐 전환했을 때 각 캠페인에 기여도를 나눠서 반영합니다.  
예시:  
- 검색 광고 기여도: 0.4  
- 유튜브 광고 기여도: 0.6  
→ 보고서에는 전환이 소수점 단위로 표시됩니다.  

2. 교차 디바이스/브라우저 전환  
사용자가 모바일에서 광고를 클릭하고, PC에서 최종 구매를 하는 경우, 전환이 각 채널별로 분산 반영됩니다. 이 과정에서도 소수점 전환이 생길 수 있습니다.  

3. 전환 유형별 가중치  
동일한 전환 액션에 여러 채널이 기여하면, 구글 알고리즘이 확률 기반으로 전환을 분배합니다. 데이터 기반 기여 모델을 사용하는 계정에서 특히 흔하게 나타납니다.  

예시 캠페인 구조  
사용자 여정:  
[검색 광고 클릭] → [유튜브 광고 시청] → [구매 완료]  

기여 분배:  
- 검색 광고: 0.4 전환  
- 유튜브 광고: 0.6 전환  
- 총 전환: 1건  

이처럼 전환이 소수점으로 나타나는 이유는, “캠페인별 기여도가 나눠진 전환”이라는 걸 의미합니다.  

정리하자면  
- 마지막 클릭 모델: 전환은 항상 정수  
- 데이터 기반/선형/위치 기반 모델: 전환이 소수점 단위로 나눠짐  

보고서에서 전환이 소수점으로 찍혀도 당황할 필요 없습니다. 단지 계정이 분배형 기여 모델을 사용하고 있다는 신호로 이해하면 됩니다. 
이렇게 분석하면, 전환 수치를 볼 때 기여도가 나눠진 전환임을 고려해 더 정확하게 퍼포먼스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시거나 꿀팁을 알고 싶으시다면  
언제든 아래 연락처로 문의주시면 무료로 컨설팅 혹은 인사이트 분석을 도와드리겠습니다!  

02-6049-4608  

감사합니다 :)  

검색광고마케터1급GAIQ구글애널리틱스SNS광고마케터

퍼포먼스 마케터에게 제대로 된 보고서를 통해 정확한 인사이트 받아보세요!

퍼포먼스개선이 가능한 마케터! 현시점 분석능력이 중요! 함께 성장할 광고주분을 모십니다

댓글

0

마케팅 인사이트

전체 글 보기
데이터가 없습니다.
광고상담은 채팅으로 문의하세요.
몇 분 내 답변 받으실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