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C 캠페인.. 수동 판매 캠페인.. 어떤 캠페인으로 세팅하지??
.gif)
이다예 마케터
2025-09-19
조회수 : 24
댓글 0
안녕하세요. 여러분~ 저는 AMPM글로벌 광고퍼포먼스1본부 4팀 마케터 이다예입니다.
최근 메타 광고를 운영하고 있는 사람들의 뜨거운 감자는
ASC 캠페인과 수동 판매 캠페인
과연 어떤 캠페인이 더 좋은 성과가 나오지?
일텐데요!
그래서 오늘은 각 캠페인의 장단점과 어떤 경우에 어떤 캠페인이 적절할지 조언을 드려보려고 합니다.
자, 우선 ASC 캠페인의 장점은 크게 4가지 입니다.
1. AI 기반 빠른 최적화
2. 광고 소재의 다양성 확보
3. 퍼널 전체 또는 폭넓은 타겟 공략 가능
4. 관리 부담 감소
다만, ASC 의 경우 지면, 혹은 소재 노출 등의 디테일한 조정에 한계가 있고,
어느정도 데이터가 쌓이지 않은 상황에서의 세팅은 성과가 저조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비용 누수가 발생할 수 있고, 비핵심 타겟에게의 노추이 될 확률이 있습니다.
그럼, 수동 판매 캠페인의 장점은 무엇이 있을까요?
1. 정밀한 타겟팅과 디테일한 조정 가능
2. 브랜드 전략에 따른 캠페인 목적 분리 운영 가능
3. 리타겟팅, 특정 이벤트 중심 마케팅 유리
다만, 세팅 및 운영의 리소스 부담이 있고,
ASC 처럼 AI 기반 자동 확장이 없다보니, 최적화가 느려질 수 있습니다.
또한 세밀한 조정이 가능한 대신 소재/타겟/지면별 세트 분리로 테스트 비용이 늘어날 수 있습니다.
자, 각 캠페인별 장단점을 알고 나니 더 어렵죠?
그래서 제가 조언을 드리고 싶은 부분을 말씀드리겠습니다.
만약, 광고비가 어느정도 있고, 여러 제품/소재 테스트의 여력이 있따면
ASC 캠페인을 시도하며 7-14일 정도의 학습 기간을 거칩니다.
동시에 수동 캠페인을 병행하여 타겟/지면/소재 테스트 값이 ASC 와 어떻게 다른지 비교합니다.
또한, 예산이 한정적이라면 초반엔 수동 캠페인을 세팅하여
고성과 소재를 발굴하고, 그렇게 발굴된 소재의 경우 데이터가 확보되어 있으니
ASC 캠페인에 활용하는 것입니다.
실제로 이렇게 세팅을 했을 때 저는 고성과를 얻었던 경험이 많습니다.
자 이렇게 ASC 캠페인과 수동 판매 캠페인 중 무조건 이 캠페인이 좋다! 라고 말하기 보다는
비즈니스의 상황, 목표, 예산이 어느 쪽에 더 맞는지를 기준으로 판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어느정도 데이터가 확보돼 있고, 빠른 학습과 자동화로 운영 리소스를 줄이고 싶을 경우 ASC
브랜드 메시지 확립, 특정 타겟 중심의 운영을 원하거나, 데이터 불충분 상황의 경우 수동 판매 캠페인
위와 같은 운영을 추천드립니다.
이번 글에서는 메타 광고 운영자들의 뜨거운 감자
ASC VS 수동판매캠페인 에 대해 다뤄봤는데요!
저 역시 정답은 아니기 때문에 참고 정도만 해주시면 좋을 것 같고,
만약 더 궁금한 내용이 있으시면 언제든 저 이다예 마케터에게 연락주시면
쉽고 빠른 상담 도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지금까지 AMPM글로벌 이다예 마케터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02-6049-1156
ekdp0810@ampm.co.kr
댓글
0
마케팅 인사이트
전체 글 보기 데이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