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GFA 광고 그룹 설정 - 예산과 입찰 전략 #2

한영빈 마케터
2025-09-27
조회수 : 32
댓글 0
안녕하세요 AMPM글로벌 한영빈 마케터입니다.
지난번 캠페인 등록에 이어,
오늘은 GFA 광고의 성패를 좌우하는 핵심 단계, 바로 광고 그룹 등록에 대해 이야기해 볼 거예요.
광고 그룹은 여러분이 설정한 '목적(캠페인)'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전략'을 짜는 곳입니다.
이 내용이 워낙 중요하고 방대해서,
오늘은 예산 및 입찰 전략에 집중하고,
다음 글에서 핵심인 타게팅을 다뤄볼게요.
1. 광고 그룹 이름 설정 및 입찰 전략의 이해
광고 그룹을 설정하는 첫 단계는 이름을 짓는 것입니다.
광고 그룹 이름: 타겟 + 제품 + 특이사항을 결합하여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명확히 작성해 주세요.
예: 아동책상_2025가을_3040여성
입찰 전략: 자동 vs. 수동
GFA에서는 광고 노출 경쟁에 참여할 방식을 크게 두 가지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구분 | 특징 | 난이도 |
자동입찰 | 네이버 머신러닝이 설정된 목표(클릭/전환/가치)에 따라 자동으로 입찰가를 조정 | / 초보자 권장 |
수동입찰 | 마케터 또는 광고주가 입찰가를 직접 설정하고 관리 | / 난이도 높음 (섬세한 운영 필요) |
주의할점: 캠페인 설정 시 캠페인 예산 최적화 를 ON으로 했다면,
광고 그룹에서는 개별 예산 설정이 불가능합니다.
그룹별 예산을 분배하며 테스트하고 싶다면 캠페인 예산 최적화를 OFF 해야 합니다.
자동 입찰의 3가지 핵심 전략
자동 입찰은 마케팅 목표에 따라 전략을 명확히 선택해야 합니다.
클릭 수 최대화 (CPC): 설정한 예산 내에서 최대한 많은 클릭을 유도합니다.
(주로 인지도 및 트래픽 캠페인에서 사용)전환 수 최대화 (CPA): 설정한 예산 내에서 최대한 많은 전환 (구매, 가입 등 특정 행동)을 유도합니다.
(주로 웹사이트 전환 캠페인에서 사용)- 전환 가치 최대화 (ROAS): 예산 내에서 가장 높은 전환 가치 (매출)를 목표로 합니다.
(구매 데이터가 충분히 쌓인 캠페인에서 효율적)인사이트: 각 캠페인 유형에 따라 선택 가능한 입찰 전략이 다르니, 반드시 목적에 맞게 설정해야 합니다.예를 들면, '웹사이트 전환' 캠페인에서는 보통 '전환 수 최대화'나 '전환 가치 최대화'를 선택합니다.
2. 비용 청구 방식과 예산 설정 팁
청구 기준: CPC vs. CPM
CPC (Cost Per Click): 클릭당 비용으로 청구됩니다. (자동 입찰 시 CPC만 가능)
CPM (Cost Per Mille): 1,000회 노출당 비용으로 청구됩니다.
GFA 광고의 입찰가는 '평균 과금가' 방식입니다.
내가 최고가로 입찰했더라도, 경쟁 결과에 따라 최종 청구되는 금액은 최고가보다 유사하거나 낮은 금액이 됩니다.
즉, '입찰가 한도'는 경쟁에서 이기기 위한 상한선이라고 이해하면 쉽습니다.
예산 설정, 어떻게 할까?
일 예산 설정: 가장 일반적인 방법입니다.
-일반적으로 최소 5만 원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데이터를 쌓고 효율을 테스트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입찰가 한도 설정 팁
초기 테스트: 입찰가에 대한 감이 없다면, **'입찰가 한도 없음'**으로 설정하여 테스트해 보는 것도 좋습니다.
위처럼 네이버 머신러닝이 알아서 효율을 찾아가기 때문에 과금이 지나치게 발생하는 것은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경쟁 테스트: 혹은 대략 200원 등 낮은 금액으로 한도를 정해두고 노출 테스트를 시작해 볼 수도 있습니다.
광고 그룹의 예산 설정은 여러분의 전략이 실제로 집행되는 데 가장 중요한 기반입니다.
다음 글에서는 GFA 성과의 꽃이라고 할 수 있는 '타게팅' 설정 방법을 상세히 알려드릴게요!
오늘 말씀 드린 내용에 대해 궁금하신점 있다면, 언제든지 저 한영빈 마케터에게 문의 주세요
그럼 다음글에서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0
마케팅 인사이트
전체 글 보기 데이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