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션업종 meta 광고 필승 전략 가이드 ep.3
마케터 이미지
김상수 마케터
2025-09-28

조회수 : 42

댓글 0
녕~ 하세요~

지난시간  패션업종(가방)을 meta 광고에 접목시켜
광고 전략을 어떻게 가져가야할 지에 대해서
소재, 타겟 에 대해 설명을 드렸었는데요?

오늘은 예산을 어떻게 운영하는것이 좋은지
머신러닝을 통한 시스템을 기준으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_ #플리츠마마 는 #땀흘리며 #가을준비중  #theoriginal #pleatsknitbag #pleatsmama.jpg




예산 운영 전략: CBO vs. ABO, 가방 쇼핑몰에 딱 맞는 선택은?


광고의 효율을 장기적으로 높이려면, 메타 시스템의 머신러닝(학습) 능력을 활용하여

예산을 가장 스마트하게 쓰는 것이 필수입니다. 여기서 CBOABO라는

두 가지 예산 설정 방식이 등장하며, 고객님의 목표와 상황에 따라 선택이 달라집니다.


1. ABO (광고 그룹 예산 최적화): 데이터 수집 및 테스트 단계

ABO는 예산을 수동으로 통제하기 때문에,

새로운 타겟이나 소재의 성과를 객관적으로 측정하고 싶을 때 유용합니다.


  • 신규 타겟 테스트

  • 예를 들어, '20대 대학생 타겟', '30대 직장인 타겟', '40대 주부 타겟' 등

  • 세 그룹 중 어떤 타겟이 우리 가방을 가장 많이 구매하는지

  • 공평한 조건(동일 예산)에서 테스트하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

  • 초기 3∼5일 동안, ABO를 활용하여 5개의 타겟 그룹에

    하루 2만 원씩 동일하게 예산을 분배하여 가장 효율 좋은 타겟을 발굴하는 데 집중합니다.


    2. CBO (캠페인 예산 최적화): 성장 및 효율 극대화 단계

    CBO는 머신러닝이 충분히 학습을 마친 후,

    최고의 성과를 내도록 예산을 집중 투입할 때 사용합니다.


  • 효율 집중 투자

  • ABO 테스트를 통해 '30대 직장인' 타겟이 가장 높은 전환율을 보인다면,

  • 이 타겟 그룹을 중심으로 CBO 캠페인을 만들어 예산을 몰아줍니다.

  • 메타 AI가 실시간으로 가장 구매가 일어날 확률이 높은 고객에게만 예산을 집중합니다.

  • 테스트 결과 전환율이 좋은 2~4개의 타겟 그룹(예: 장바구니 리타겟, 구매 고객 유사 타겟)을

  • CBO 캠페인에 통합하여 총예산을 설정합니다.

  • AI가 이 그룹들 내에서 스스로 경쟁하고 최적화하여 광고 효율(ROAS)을 극대화합니다.


  • 이러한 ABO → CBO 전환 전략을 통해,
    고객님의 가방 쇼핑몰은 데이터 기반으로 안정적인 매출 성장을 이어가실 수 있을 것입니다.

    지속적인 소재 테스트와 데이터 분석을 통해 최고의 효율을 만들어내시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마케터자격이수

    결과를 통해 과정을 입증한다

    결과를 통해 과정을 입증하는 마케터

    광고퍼포먼스 2본부 2팀 김상수 AE입니다.

    데이터를 통해 명확한 분석으로
    수많은 레퍼런스와 데이터를 바탕으로 결과를 증명합니다
    명확한 원인 분석만이 성과 개선의 첫 단추입니다

    댓글

    0

    마케팅 인사이트

    전체 글 보기
    데이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