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구 업종 마케팅 ①-왜 요즘 가구 광고는 디지털이 답일까?
마케터 이미지
양나연 마케터
2025-09-30

조회수 : 48

댓글 0



가구 업종 마케팅 ①





“왜 요즘 가구 광고는 디지털이 답일까?”



가구 업종은 예전부터 오프라인 전시장에서의 체험과 상담이 핵심이었죠.
물론, 오프라인 체험도 무시할 수 없지만
최근 소비자들은 오프라인 매장을 방문하기 전 이미 온라인에서 모든 정보를 비교하고 결정합니다.




2025년 가구 시장의 흐름



image.png


- 1인 가구 증가 → 좁은 공간에 맞춘 모듈형/멀티 가구 수요 급증

- 중산층 소비력 강화 → 감각적인 디자인, 프리미엄 가구 선호

- 친환경 트렌드 확산 → 소재, 내구성, 환경 친화성 강조

- 약 5% 성장 전망 → 특히 온라인 직구, 모바일 구매 비중이 커지고 있음





즉, 소비자들의 ‘구매 여정’이 달라졌습니다.

가구를 보러 오프라인 매장에 오기 전에,

네이버에서 리뷰와 후기를 보고,

인스타그램에서 인플루언서 추천을 참고하고,

유튜브 숏폼에서 공간 활용 영상을 확인합니다.


온라인에서 브랜드를 만나지 못하면, 매장까지 오기도 어렵다는 얘기죠.









 경쟁사는 이미 이렇게 움직이고 있다




많은 브랜드들이 이 변화를 읽고 디지털 마케팅 퍼널을 적극 활용합니다.

[복사본] 가구업종 제안서.jpg

- 네이버 검색 광고 → “생활방수 소파”, “1인가구 식탁” 같은 실수요 키워드 공략

- 메타 광고 → 숏폼/후기형 콘텐츠로 브랜드 노출 + 구매 고려층 동시 공략

- 바이럴 마케팅 → 블로그, 커뮤니티 후기, 한 달 사용기 같은 실사용 콘텐츠 확대




즉, 브랜드 인지도 → 흥미 → 검색 → 전환 → 재구매까지

디지털에서 완전히 풀퍼널을 설계하고 있는 겁니다.







가구 브랜드가 놓치고 있는 것들




하지만 많은 가구 브랜드들은 여전히 이런 문제를 갖고 있습니다.


- 제품의 차별 포인트(USP) 노출 부족

- 후기/리뷰 관리 미흡 → 신뢰도 약화

- 스토어 반응지표 부족(찜, 리뷰, 톡톡상담 등)




즉, 좋은 제품이 있어도 소비자가 온라인에서 발견하기 어렵다는 것이 핵심 문제입니다.




-> 그래서 지금 필요한 전략은 이겁니다. 


1. 브랜딩 강화 – 감성 숏폼, 공간 제안 콘텐츠로 지속 노출

2. 검색 기반 유입 – 네이버 쇼핑검색 최적화 + 스토어 반응 지표 관리

3. 전환 유도 – 장바구니 이탈자, 상세페이지 체류자 중심 리타겟팅

4. 재구매 전략 – 카탈로그·CRM을 활용한 충성 고객 관리









▶ 정리




2025년 가구업종은 단순히 “좋은 제품을 만드는 것”만으로는 부족합니다.

소비자의 여정이 완전히 온라인 중심으로 바뀌었기 때문에,

브랜드가 온라인에서 발견되고, 비교되고, 기억되는 구조를 만들어야만 매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오프라인 중심에서 벗어나 디지털 퍼널 기반 마케팅으로 확장할 때,

가구 브랜드는 비로소 성장의 기회를 잡을 수 있습니다.







다음 2편에서는, 실제로 어떤 매체에서 어떤 전략으로 풀퍼널 마케팅을 실행할 수 있는지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


지금까지 EC업종 전문 마케터
양나연AE 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다운로드.png





마케터자격이수

다시 찾으시던데요 ?

신뢰 / 소통 중심 마케터 양나연 입니다. 

댓글

0

마케팅 인사이트

전체 글 보기
데이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