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션 업종 광고비, 매체별 최적 분배 전략”

김진수 마케터
2025-09-30
조회수 : 39
댓글 0
1. 패션업종의 시장 현황 & 트렌드
- 패션 업종 광고 시장 규모는 경쟁이 치열함
- 시즌(9~12월 / 2~5월)에 따라 매출 기여도가 집중되는 특성
-"트렌드+시즌"에 따라 소비자 검색 및 구매 패턴의 변화가 생김
2. 패션 업종 광고 특성
- 시즌 의존도가 높다.
- 브랜딩 + 퍼포먼스가 동시에 필요하다.
- 이미지/비주얼 영향력 70% 이상 -소재 중요!
- 성수기 CPC 변동폭이 크기에 전략적 운영이 필요하다.
3. 시즌별 성과 곡선( 9~12월 예시 )
9~10월: 가을 신상( 니트, 트렌치, 코디)
11월: 블랙프라이데이(세일, 특가, 패딩)
12월: 크리스마스 및 연말(선물, 파티룩, 커플룩 등)
----> 시즌별 소비자 심리 &키워드 트렌드
4. 소비자 심리 인사이트 (위의 예시에 따른)
9~10월 신상품 욕구, 스타일 제안 니즈가 증가함.
11월: 할인/한정 혜택에 반응 . 이에 따른 소비자 FOMO심리 자극 극대화
12월: 선물 및 기념일 소비자, 감성 자극 반응이 높아짐.
----> 각 시점별 광고 문구와 소재 최적화 필요
5. 매체별 역할 정의 및 예산분배
1) 네이버 검색광고-특징: 키워드 관리를 통해 전환율을 높여 구매수요를 늘림 - 전체 예산의 30% 정도 분배
2) 네이버 쇼핑 광고-특징: 리뷰/쿠폰/혜택을 강조하여 실 구매전환을 유도함 - 전체 예산의 25% 정도 분배
3) SNS (인스타,틱톡)- 숏폼/스타일 콘텐츠를 통한 브랜드 인지도 확산시킴- 전체 예산의 20% 정도 분배
4. 유튜브 , GDN - 신상품 런칭, 영상 캠페인을 통해 브랜드 인지도를 확산시킴 - 전체 예산의 15%정도 분배
5. 라이브 커머스/기타 - 한정 특가/소통 강화를 통해 즉시 매출증진 - 전체예산의 10%정도 분배
*매체 분할의 %정도는 자사현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정리하면 패션 브랜드는 트렌드에 민감하기 때문에 시즌 별 성과를 내기 위해 키워드 관리, 매체 이용을 효율적으로 잘 해야 합니다.
패션 업종 관련 광고를 하시는 광고주분들은 이 점을 유의 하시어 꼭 ROAS성과를 내시길 바라겠습니다!
이상 AMPM글로벌 마케터 김진수였습니다.
문의는 TEL) 02-6049-4265 EMAIL) kimjinsu321@ampm.co.kr 이리로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편하게 연락주세요!
댓글
0
마케팅 인사이트
전체 글 보기 데이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