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얼리 업종 마케팅 전략 | 예산과 제품군별 전략 가이드
마케터 이미지
박가진 마케터
2025-10-17

조회수 : 68

댓글 0

안녕하세요, AMPM글로벌 광고퍼포먼스1본부 2팀 박가진 마케터입니다!

오늘은 주얼리 업종 마케팅 전략에 대해 간략하게 정리하고자 합니다.


image.png

주얼리 업종은 겉보기에는 비슷해 보여도,

실제로는 제품 객단가에 따라 소비자 심리와 광고 전략이 다릅니다.

크게 보면 ‘패션 주얼리’와 ‘고가 주얼리’ 두 카테고리로 나눌 수 있습니다.


패션 주얼리는 패션잡화에 가까운, 트렌드 중심의 소비재라면,

고가 주얼리는 다이아몬드, 금 등 경제적인 가치를 함께 지닌 제품군으로, 구매 결정까지의 여정이 훨씬 길고 신중합니다.

따라서 두 상품군은 매체 선택부터 소재 및 문구 구성까지 접근 방식이 달라야 합니다.

상품군별로 어떤 차별점이 있는지 간략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


1. 패션 주얼리

패션 주얼리는 10만 원대 이하의 합리적인 가격대가 많고, 즉시 구매 전환형 광고에 반응합니다.

주요 매체: 네이버 쇼핑검색, 메타, GFA

소재: 모델 착용샷, 감각적인 무드컷의 촬영 소재

소비자는 ‘나도 이렇게 착용해볼까?’라는 공감형 반응으로 클릭하는 경향이 있어,

제품 디테일보다는 착용감과 스타일링 포인트를 강조하는 것이 좋습니다.


2. 고가 주얼리

평균 객단가 100만 원 이상인 다이아, 금 주얼리는 브랜드 신뢰가 구매의 전제조건입니다.

따라서 노출보다는 인지, 브랜딩 캠페인 중심으로 접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요 매체:

- 네이버 브랜드검색 -> 고가 브랜드 신뢰 확보

- GFA -> 구매 전환이 높은 연령대 타겟 중심 인지도 확대

  (리타겟팅 -> 상담 전환, 재방문 유도)

소재:

썸네일 -> 정면에서 반짝임이 강조된 제품 단독 클로즈업 컷

다이아의 컷팅, 광택, 질감 등 ‘품질’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연출의 소재


결국 제품을 정확히 이해하고, 자사 예산과 목표에 맞는 매체 전략을 세우는 것이

주얼리 광고 성과의 핵심 포인트입니다.

자세한 상담이 필요하시다면 아래 명함으로 문의주세요!

박가진_명함.png


첨부 파일
마케터자격이수

박가진 AE

데이터 분석을 통한 꼼꼼한 컨설팅 진행해드립니다!

빠른 상담 희망 시 

02-6049-4251  전화 주세요

댓글

0

마케팅 인사이트

전체 글 보기
데이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