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g)
1) 왜 ‘매체 믹스’가 필수일까?
B2B 구매는 평균 5~7회 접점을 거친 뒤 전환되는 경향이 큽니다.
단일 채널로는 인지→관심→검토→전환의 전 과정을 커버하기 어렵습니다.
검색은 “지금 찾는 사람”을 데려오고, DA(Display & App) 매체는 “아직 결정하지 않은 사람”에게 반복 노출과 신뢰를 더합니다.
결론적으로 검색 + DA + 리타겟팅 + CRM의 결합이 SQL·파이프라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2) 추천 매체 스택
구분 | 매체 | 역할 | 활용법 | 핵심 KPI |
---|---|---|---|---|
코어 | 네이버 검색광고 | 국내 의사결정자 의도 유입 | “업체/도입/가격/비교” 쿼리 공략 시 | CTR, CPC, 전환율, CPL |
코어 | 구글 검색광고 | 기술·글로벌 타깃 의도 유입 | SaaS/IT/글로벌 확장 시 | CTR, CPA, 리드 질 |
증폭 | 리멤버 인앱 광고 | 직급·산업 정밀 노출 | 임원·팀장·실무 리더 타깃팅 시 | 도달·빈도, 폼 전환 |
증폭 | 구글 디맨드젠 | 비주얼 전환 최적화 | YouTube/Discover 기반 확장 시 | 리드폼 CVR, CPA |
증폭 | 네트워크 배너(ADN/모비온) | 대규모 확산·리마케팅 | 사이트 방문자 재접촉 시 | 증분 CTR, 뷰스루 전환 |
전환 | 리타겟팅(전 채널) | 관심군 재접촉·전환 | 고의도 세그먼트 설정 시 | 세그별 CPA, SQL율 |
전환 | CRM/이메일·세일즈 연동 | 핸드오프·육성 | MQL→SQL 품질 개선 시 | 최초 접촉 시간, SQL율 |
3) 매체별 제안 포인트
3.1 네이버 검색광고(코어)
목적: 국내 의사결정자의 의도 기반 트래픽 확보입니다.
키워드 구조:
코어: “기업용 ”, “ 솔루션”
의도: “가격”, “견적”, “비교”, “보안”, “SLA”
광고형식: 파워링크 + 브랜드검색 병행을 권장합니다.
랜딩 UX: 상단 요약·고객 로고·보안 인증·CTA(상담/데모) 고정이 효과적입니다.
KPI: CTR, CPC, 전환율, CPL(리드 단가) 중심으로 관리합니다.
3.2 구글 검색광고(코어)
목적: 기술·글로벌 타깃에서의 고의도 유입 확보입니다.
전략: Search(정확 타깃) + PMax(확장) 조합을 권장합니다.
세부 팁: 리드폼 확장, 지역·언어 세그, 매체 제외 리스트로 질 관리가 중요합니다.
KPI: CPA, 리드 질, 브랜드/논브랜드 분리 성과를 봅니다.
3.3 리멤버 인앱 광고(증폭)
강점: 직급·직무·산업·기업규모 기반 정밀 타깃팅이 가능합니다.
지면: 스플래시·메인·알림(native)·앱 종료 배너를 혼합 운영합니다.
활용: 검색 유입 후 의사결정자에게 반복 노출하여 신뢰 형성에 유리합니다.
KPI: 도달·빈도·클릭·리드폼 전환율, 세그먼트별 CPA입니다.
3.4 구글 디맨드젠(증폭)
강점: YouTube/Discover/Gmail 전반 AI 전환 최적화가 핵심입니다.
포맷: 영상·이미지·캐러셀, 리드폼 확장 활용을 권장합니다.
활용: 검색·웹 방문자 대상 비주얼 리타겟팅으로 전환율을 끌어올립니다.
KPI: 리드폼 CVR, CPA, 뷰스루 전환입니다.
3.5 네트워크 배너(ADN/모비온 등)(증폭)
강점: 대규모 도달 + 리타겟팅 유연성이 높습니다.
전략: 방문자·다운로드자·가격 페이지 열람자 등 세그먼트 리마케팅 중심입니다.
KPI: 증분 CTR, 뷰스루 전환, 세그별 CPA입니다.
3.6 리타겟팅 & CRM(전환)
예시:
S1: 가격/도입 페이지 방문자
S2: 기능/사례 2회 이상 방문자
S3: 백서 다운로드/웨비나 등록자
CRM 연동: 소스·캠페인·세그값을 리드 필드로 일치시켜 SQL 품질을 추적합니다.
KPI: MQL→SQL 전환율, 최초 접촉 시간, 파이프라인 금액입니다.
4) 리타겟팅 구조(검색 연계 핵심)
검색 유입 → 세그먼트 태깅 → 리멤버 인앱/디맨드젠/배너 리마케팅 → 랜딩/리드폼 → CRM → SQL 로 닫힌 루프를 설계합니다.
세그먼트 | 조건 | 권장 매체 | 메시지/오퍼 |
---|---|---|---|
S1 고의도 | 가격·도입·보안 페이지 열람 | 리멤버, 디맨드젠 | “도입 가이드 PDF”, “30분 컨설팅” |
S2 제품 이해 | 기능/사례 2회 이상 | 디맨드젠, 배너 | “데모 영상”, “사례집 다운로드” |
S3 리드 전환 | 백서·웨비나 등록 | 리멤버 | “맞춤 데모”, “견적 상담” |
빈도 가이드: 리멤버 주 1~3회, 디맨드젠 주 2~4회, 배너 주 2~5회가 과도 피로 없이 안정적입니다.
5) 랜딩·리드폼 최적화
사회적 증거(고객 로고·인증·수치) 를근처에 배치합니다.
폼 항목 최소화(이름/회사/메일/전화), 선택 항목은 후속 단계에서 수집합니다.
속도/모바일 최적화: LCP 2.5초 이내를 목표로 합니다.
6) 실패 패턴과 예방
채널 단일지표 집착: DA 기여 과소평가가 발생합니다 → 어시스트·VTA 병렬 보고로 해결합니다.
과도한 빈도: 피로로 CVR 하락합니다 → 빈도 캡과 소재 로테이션을 운영합니다.
학습 부족: 자동입찰·디맨드젠 효율 저하 위험이 있습니다 → 초기 2주 학습 예산을 보장합니다.
폼 과다: 이탈 증가로 CPL 상승합니다 → 핵심 4항목만 유지합니다.
7) FAQ
Q. 리멤버와 디맨드젠을 동시에 써야 합니까?
A. 리멤버는 직장인·의사결정자 정밀 타깃, 디맨드젠은 비주얼 전환 최적화가 강점입니다. 병행 시 리드 질과 전환 효율이 함께 개선됩니다.
Q. 경영진 설득용 지표는 무엇이 중요합니까?
A. CPSQL, SQL 기여도, 어시스트/VTA, 최초 접촉 시간(SLA) 을 함께 제시하면 설득력이 높습니다.
“B2B 마케팅은 더 이상 한 번의 클릭으로 끝나지 않는다.
검색에서 시작해, DA 매체로 기억되고, 리타겟팅으로 전환된다.”
다양한 B2B 광고를 진행하면서 얻은 핵심적인 요소로, 각 대표님의 현황, 목표등에 따라 전략은 유동적으로 조정이 가능합니다.
새로운 생각, 새로운 가능성으로 대표님의 새로운 성공에 함께 하겠습니다.
지금까지 광고퍼포먼스 3본부 3팀 이재희 AE였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