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f)
안녕하세요 AMPM 글로벌 1:1 밀착형 마케터 박현지 입니다.
1. 시장 및 업종 특성
검색광고에서는 단순 방문보다는 문의, 상담 요청, 가맹문의 등 구체적 행동을 유도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지역, 업종 종류(프랜차이즈 vs 독립), 투자금 규모 등의 조건이 다양하므로 타겟 세분화 및 메시지 맞춤화가 성과를 좌우합니다.
2.키워드 전략
“피자 창업”, “카페 창업 비용”, “프랜차이즈 창업 문의”, “소자본 창업 아이템” 등 고관여 키워드를 중심으로 설정해야 하며,
예비 창업자가 직접 검색할 가능성이 높은 키워드에 집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면 “창업”, “비즈니스 아이템”처럼 범위가 넓은 키워드는 클릭은 많지만 문의로 이어지기 어려워 예산 효율화 차원에서 주의가 필요합니다.
3.광고 문구 및 제안 메시지
창업 업종에서는 신뢰감 + 비용 명확성 + 빠른 실행 가능성을 강조하는 문구가 효과적입니다.
예: “초기비용 얼마부터”, “1인 창업 가능”, “빠른 오픈 지원”, “무료 상담 & 견적”. 업종 특성상 가맹문의, 상담예약으로 자연스럽게 연결될 수 있는 문구 구성이 중요합니다.
4. 랜딩페이지 및 광고그룹 구성
랜딩페이지는 예비 창업자의 고민을 바로 해결할 수 있어야 하며, 설치비용, 월수익 예상, 지원내용, 성공사례 등 구체적 정보 제공이 핵심입니다.
광고그룹은 업종별, 투자규모별, 지역별로 나누어 각 그룹에 맞는 키워드 + 메시지 맞춤화가 필요합니다. 실제 사례에서는 키워드 그룹 분리가 미흡하면 성과가 떨어진 경우가 있었습니다.
5. 운영 전략 및 타겟 최적화
예비 창업자의 시간대·디바이스 특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저녁이나 주말에 ‘창업’, ‘프랜차이즈’ 검색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시간대별 입찰 조정이 필요하며,
PC와 모바일 검색 유저 특성이 다르므로 디바이스별 캠페인 운영과 입찰가 조정이 효과적입니다.
6. 성과 관리 및 전환 흐름
검색광고 클릭만으로는 충분치 않고, 문의 → 상담 → 계약/가맹진행까지의 흐름을 추적해야 합니다.
전환 체크가 제대로 안 되면 광고비만 소진되는 사례가 있으며, 검색광고만으로는 메인 키워드 입찰 경쟁이 치열하므로
콘텐츠 마케팅 및 바이럴 연계로 브랜드 인지도와 검색 점유를 확보하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최신인기게시글>
<함께보면유용한시리즈모음>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