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배너광고, GFA 카탈로그 캠페인 총정리
마케터 이미지
김주현 마케터
2025-10-28

조회수 : 54

댓글 0


안녕하세요 AMPM글로벌 광고퍼포먼스 1본부 4팀,
네이버 전문마케터 김주현입니다. : )

제목을 입력하세요 (66).png


네이버 검색광고와 함께 가장 많이 문의주시는 것이 바로 네이버 배너 광고 인데요

네이버에 들어가면 메인화면에 보이는 그것 ! 

네이버에서 정보를 탐색하다가 마주치는 그것 !

그것들이 다 네이버 배너광고에 해당되는 상품이 맞습니다.


제일 흔하게 접해보시고, 문의주시는 것이 네이버 메인화면에 뜨는 타임보드 배너입니다.

이 배너의 경우, 별도로 시간대 별 입찰 방식을 사용하며, 1시간 단위로 입찰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공식 단가표에 따르면, 1시간 당 200만원이상의 단가가 측정되어있으며, 

피크타임의 경우 수백만원 이상의 단가가 측정 될  수 있기 때문에 대형프로모션이나 브랜딩 목적으로 활용된다고 봐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image.png


그렇다면, 대형브랜드가 아닌 경우에, 타임보드나 롤링보드 배너 이외에 집행가능한 GFA 배너광고는 뭐가 있느냐?


바로, 카탈로그 배너, 애드부스트 배너 등이 있는데요

애드부스트 배너가 궁긍하신 경우, 아래 링크를 들어가 내용 참고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애드부스트 캠페인 설명]

https://home.ampm.co.kr/ae-kimjuhyun%2F/insight/12567?sortBy=wr_num&page=1&rowsPerPage=12&source=Y&route=insight&mb_id=kimjuhyun&add_field=Y


카탈로그 캠페인, 어떤 경우에 하면 좋나요?


1. 다품종 업종인 경우 / 시즌별로 라인업이 자주 바뀌는 경우

보통 카탈로그 캠페인을 권장 드리는 경우는, 귀사의 제품 수가 많고 다양한 경우입니다.

카탈로그는 AI 기반 학습 구조 상, 상품이 많을수록 학습 데이터가 풍부해져서, 최적화 속도가 빨라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귀사의 제품 라인업이 시즌별로 지속적으로 변경되는 경우,  피드 자동 업데이트 시스템으로

계절과 시즌별 상품을 AI가 자동으로 반영해주기 때문에 효율적인 광고 집행이 가능합니다.


이에 해당하는 업종은 패션, 뷰티, 리빙, 잡화 등이 있겠습니다.


2. 리타겟팅, 재구매 비중이 높은 브랜드

카탈로그 캠페인이 쇼핑검색광고와 다른 차이점은 쇼핑검색광고는 키워드를 검색 시 노출되는 의도 기반의 광고이지만,

카탈로그는 조회, 장바구니, 구매이력 등 행동을 기반으로 노출하는 구조라는 것입니다.

따라서, 리타겟팅에 적합하여, 재구매 비중이 높은 브랜드에게 효율적인 전략입니다.


이에 해당하는 업종은 패션&뷰티,건기식, 생활용품 & 소형가전, 펫용품 등이 있겠습니다.


3. 할인 프로모션이 빈번한 경우

카탈로그 캠페인은 특히나 할인, 혜택형 소재에서 CTR이 좋은 편입니다.

광고 집행 시, 피드에 등록된 할인율이나 혜택을 그대로 끌어와지는데요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카탈로그는 행동 기반이기 때문에 소비자가 탐색한 시점에서 노출을 시켜,

할인, 혜택 등과 관련된 소구점들이 직접적인 구매 유인 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카탈로그 캠페인, 세팅에 크게 힘들일 필요가 없는데, 어떻게 관리해줘야 성과가 오르나요?

image.png

카탈로그 광고는 자사몰에 있는 상품이 그대로 끌어와지는 것이기 때문에,

쇼핑 검색광고처럼 일일이 제품을 등록하게 소재를 관리해줄 필요가 없는 광고 상품인데요

그렇다고해서, 카탈로그 세팅하실 때, 모든 아이템을 불러온 상태로 기초 세팅만 하고 그대로 두시면, 

성과가 잘 나오지 않을 수 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카탈로그 세팅 시, 알아두시면 좋은 몇가지 세팅 팁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카탈로그 세팅: 마케터 꿀 TIP>


1. 관심사 / 관심사 + 구매의도 별로 그룹 생성 및 테스트


카탈로그의 경우는 전환캠페인과 다르게, 한 계정당 하나의 카탈로그 세트밖에 생성이 불가 하여서,

제품별로 그룹핑하는 것이 불가능한데요

따라서, 테스트 해볼 수 있는 것들은, 그룹별로 관심사 또는 구매 의도를 달리해보는 것입니다.


기본적으로는 관심사와 구매의도를 따로 설정하지 않고, 연령, 성별 등만 설정을 해두지만, 

여기에 업종과 관련된 관심사를 추가해줍니다. 

유의할 점은 관심사만 걸어줬을 때, 모수가 지나치게 좁아 성과가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관심사 + 구매 의도를 함께 걸어주어 충분한 모수를 확보하고 테스트 해볼 것을 권장 드립니다.



2. 시간대 별 그룹핑 후 집중 운영

광고를 집행해보면서, 시간대 별 데이터가 어느 정도 쌓였다면,

그중 성과가 좋은 시간대를 따로 그룹핑 하여, 테스트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성과가 잘 나오는 시간대로 설정한 그룹의 성과가 좋으면, 해당 시간대로 탄력적으로 운영이 가능하기 때문에

시간대 별 그룹핑을 통해, 성과를 개선시킬 수 있습니다.


3. 장바구니, 조회자 등 리타겟팅 어디언스 그룹 테스트

GFA에서는 [도구] > [잠재고객 관리] 를 통해서, 잠재고객 타겟을 생성할 수 가 있는데요

image.png

자사몰을 사용하는 경우, [내 데이터 타겟] 탭에서 카페 24와 같은 호스트사에서 제공 받은 CSV파일을 등록 해주시면 되고,

스마트스토어를 사용중인 경우, [네이버 쇼핑 타겟] 탭에서 방분, 구매완료, 장바구니 등의 리타겟 요소로 타겟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타겟을 그룹별로 테스트하여서, 자사에 니즈가 높은 타겟의 그룹을 탄력적으로 관리하여 성과 개선이 가능합니다.



TALK ) 당부의 말씀

오늘은 제일 보편적으로 집행할 수 있는 배너광고 중, 카탈로그 광고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흔히들 자동으로 상품이 불러와져서, 크게 세팅 할게 없다고 생각하는 것에 비해, 

어떻게 그룹핑 하고 테스트 하느냐에 따라서, 성과가 달라진다는 것을 말씀드릴 수 가 있겠습니다.

이러한 방법으로 최근 패션 업종 카탈로그 광고를 집행하면서, SS시즌-> FW시즌  ROAS 120%이상 증가 시킬 수가 있었는데요

오늘 말씀드린 카탈로그 광고와 더불어, 다른 배너광고나 네이버 검색광고에 대해,

궁금하신 사항이 생기시면, 편하게 문의 부탁 드립니다 :D


02-6049-4249

kimjuhyun@ampm.co.kr

김주현 전자명함_퍼1본4팀.png

첨부 파일
검색광고마케터1급SNS광고마케터

어떻게든 답을 찾는 김주현AE

전문가에 맡겨 보시면그 답을 찾으실 수 있을 겁니다


전문적인 분석과 인사이트로 정확히 문제를 짚어내고,  확실한 해결책을 찾아드리겠습니다!



댓글

0

마케팅 인사이트

전체 글 보기
데이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