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AMPM Global 장민지 마케터입니다!
오늘은 나스미디어의 2025 주요 매체 결산 중 ‘구글·유튜브’만 딱 집어,
실무에 바로 쓰실 포인트로 정리해 드릴게요.
성장한 서비스와 성과 좋은 광고 포맷을 핵심만 추려 담았으니,
구글과 유튜브가 평소 쓰시는 매체라면 바로 적용해 보시고 효율을 높여 보시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1. 구글의 기본 규모와 이용자 특징
- MAU 3,447만 명 / 도달률 75.1%
→ 한국 인터넷 이용자 4명 중 3명이 매달 쓴다는 내용입니다
- 남 52.9% / 여 47.1%, 전 연령 고르게 분포
→ 특정 연령에 치우치지 않아 대중 타깃 캠페인에 유리합니다.
- 제미나이(Gemini) 앱 MAU 578만 명
→ 구글의 AI 앱도 빠르게 안착 중이라고 하네요!
- ‘AI 모드’ 검색은 일반 검색보다 *쿼리가 2~3배 더 길다
* 쿼리 : 데이터베이스나 시스템에 요청을 보내는 명령어로 특정 정보를 찾기 위한 질문이라고 이해하시면 쉽습니다!
→ 사람들은 AI에게 상황·조건을 길게 설명하곤 합니다.
즉, 의도가 더 뚜렷해져서 전환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는 말이죠!
2. 구글은 이제 ‘검색’이 아니라 ‘일상형 AI 플랫폼’ 이 됩니다.
- Gemini 앱·브라우징·문서작업·검색까지 AI로 연결
2025년 구글은 *제미나이를 기반으로 주요 서비스에 AI 기능을 통합해
이용자의 콘텐츠 창작부터 정보 탐색,일상 업무까지의 전 과정을
구글 생태계 인에서 유기적으로 연결하였습니다.
*제미나이 : 구글이 개발한 멀티 모달 생성형 AI모델,
텍스트,이미지,음성 등 다양한 데이터를 동시에 이해하고 생성하는 기술
이는 검색 중심에서 벗어나 AI 기반 맞춤형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플랫폼 내 체류시간을 확대하고 수익성장의 기반을 강화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요즘은 사용자가 검색하기 전부터 결과를 본 뒤까지 구글 안에서 머무는 시간이 길어졌죠.
그러다 보니 여정 곳곳에서 우리 광고가 만나는 순간이 많아지고,
노출이 쌓이면서 캠페인 효율도 함께 올라간 것입니다!
3. 광고 캠페인 기획부터 소재, 운영까지 전 과정에 ‘AI 도구’ 접목
구글은 소재 제작 및 광고 상품 뿐 아니라 캠페인 계획 수립 단계까지 AI 도구를 접목하며
마케팅 효율을 극대화하는 데에 집중하였습니다.
이로 인해 구글이 보유한 데이터를 분석해 브랜드 잠재 수요를 정밀하게 포착하고,
AI 기반 광고 최적화를 통해 성과 향상에 기여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 기획/인사이트
Insights Finder, YouTrends 등으로 시장 키워드·관심사를 자동 추천/확인
- 소재 제작
비디오 자동 개선, Asset Studio로 영상·배너를 빠르게 변형/제작
- 운영/최적화
자동 입찰·예측 모델로 성과 높은 조합에 예산 자동 집중, 브랜드 안전성(VAC 등) 관리
1) 유튜브의 규모와 이용 패턴

- *MAU 4,271만 / 도달률 93%
*MAU : 한 달 내 해당 서비스에서 활동한 고유 사용자 수
→ 한국 인터넷 이용자의 대부분이 매달 보고 있다는 뜻이죠!
- 남 50.4% / 여 49.6% 전 연령 고르게 분포
→ 특정 연령에 치우치지 않아 브랜딩–전환 모두 가능합니다.
- 세부 지표
구독자 10만+ 국내 채널 5,500개 이상 → 크리에이터 생태계가 매우 큼
사용자 90%가 유튜브에서 신제품 발견
쇼핑 콘텐츠 시청 시간 전년 대비 300%↑
→ 콘텐츠에서 바로 구매로 연결되는 흐름이 커졌습니다.
이제 보는 곳을 넘어서 상품을 발견하고 믿고 구매하는 곳이 되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2. 플랫폼 방향 > 크리에이터가 성장하면, 광고주도 이득이다!


- 노출 기준 ‘개인 맞춤’ 강화하여, 시청자 취향에 딱 맞는 영상이 더 잘 뜰 수 있게 되었습니다.
- 커머스의 연동 확대 (쇼츠·라이브·제품 태그·파트너스) 로 영상 속 상품이 바로 구매로 이어지며
- 크리에이터 × 광고의 결합이 공식화되어 크리에이터 협업 영상에 광고를 얹어 리치·전환을 동시에 노립니다.
이처럼 유튜브는 2025 콘텐츠 노출 기준을 개인 맞춤형으로 개편하고 인기 급상승 동영상을 폐지해 다양한 크리에이터가 발굴될 수 있는 균형 잡힌 생태계 마련을 도모하였습니다.
또한 광고 중심의 기존 크리에이터 수익 모델을 보완하기 위해 콘텐츠-커머스 연동기능을 전면 강화하였으며, 판매 및 수수료 기반의 수익 확보 경로를 다양하게 변화하는 추진 방향을 펼쳤습니다.
그렇다면 이 내용이 왜 중요할까요?


1. 신뢰 : 크리에이터 추천은 다른 플랫폼 대비 구매 단계에서 신뢰도가 높기 때문입니다.
2. 속도 : 영상 안에서 정보를 주고 설득을 하며 구매유도까지 원스톱으로 일어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유튜브는 대중도달 + 크리에이터 신뢰 + 쇼핑 연동이 한 플랫폼 안에서 연결되기 때문에
예산이 크지 않더라도 짧은 영상 2-3종
리마케팅만으로도 발견 - 관심 - 전환 의 기본 퍼널을 만들 수 있습니다.
제가 준비한 내용은 여기까지 입니다! 유익하셨길 바라면서
다음 포스팅에서는 "인스타그램·스레드 매체 분석"으로 업로드 예정이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혹시나 위 내용에 관련하여 궁금하신 점, 더 세분화된 광고전략에 관해 도움이 필요하시면
바로 상담 가능하니 언제든지 아래 연락처로 문의주세요!
Mail : yznim1070@ampm.co.kr
Tel. 02-6049-4643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