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AMPM글로벌 마케터 구유빈입니다 :)
여성의류 쇼핑몰을 운영하시는 분들! 온라인 광고 진행하고 계신가요??
온라인 광고를 진행하고 계신다면 매번 유입과 전환이 빵 터지는 베스트 소재를 찾기 위해서
테스트를 진행하고, 시즌이 바뀌면 또 테스트 하고, 신제품 나오면 또 테스트를 진행하고 계실텐데요.
오늘은 제가 클릭이 잘 나오는 소재를 빠르게 찾아내는 팁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온라인에서 여성의류만 노출이 되는 쇼핑영역들이 엄청 다양하게 있습니다.
사진 속 제품들은 모두 다 ! 다른 영역에서 노출 되고 있는 소재들입니다.
정말 다양한 구좌들이 존재하는데, 모든 매체에 해당되는 것은 아니지만
대부분 작은 이미지, 짧은 문구만으로 관심을 끌고 클릭을 유도해야한다는 공통적인 특징이 있습니다
모든 매체들을 다 다루고 싶지만 오늘은 대표적으로 많이들 이용하시는 매체 3가지 정도만 준비해보았습니다.
먼저 여성의류 전문 쇼핑 플랫폼인 지그재그입니다.
지그재그는 카테고리별로 혹은 필요로 하는 제품을 검색을 해 모아서 볼 수 있기 때문에
비슷한 제품, 타업체의 동일한 제품들도 함께 노출이 됩니다.
그 중에서도 우리 제품을 선택 할 수 있도록 만드는 소재가 필요한데요.
동일한 제품이라도 소재에서 제품의 전체 컬러, 기장 옵션 같은 요소들을
한 눈에 확인 할 수 있는 소재컷을 노출시 더 높은 유입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소비자들이 원하는 제품이 코디에 어떻게 활용되는지 볼 수 있는
전체적인 코디컷들도 유입 반응이 좋은 소재입니다.
앞서 말씀드린 것 처럼 지그재그는 카테고리별, 또는 검색을 통해서 비슷한 제품들을 모아 볼 수 있기 때문에,
데일리셔츠/ 1등원피스/ 재구매최고와 같은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 할 수 있는 수식어를 활용하거나,
이모티콘을 사용해 문구에 시각적인 요소를 추가 하는 것도 좋습니다.
할인율을 기재하는 것도 좋지만 아무래도 비슷한 상품이라면 더 저렴한 제품을 찾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사실 타업체 제품들을 모니터링하며 적절한 가격을 책정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
두 번째는 SNS, 그 중에서도 인스타그램입니다.
인스타그램은 일상 공유/ 소통/ 관심있는 콘텐츠를 둘러볼 수 있는 모바일에 최적화 된 앱인데요,
그렇기 때문에 제품을 판매한다는 상업적인 느낌보다는 피드에 자연스럽게 녹아드는 소재를 노출하는 것이 좋습니다.
스튜디오에서 각잡고 촬영한 컷들 보다는 소비자들이 내가 일상에서 이 옷을 입는다면 어떨까? 라는 생각이 들게끔
자연스러운 일상감이 느껴지는 야외컷 소재들을 노출시 더 좋은 반응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짧은 영상인 릴스를 활용해 단순 제품을 입고 움직이는 영상보다는
요즘 유행하는 챌린지를 찍거나, 키와 체형별 상황에 맞는 룩북 영상과 같은
컨텐츠를 등록한다면 더 많은 유입을 받을 수 있습니다.
마지막은 네이버 입니다.
네이버서도 PC와 모바일 메인에서 여성의류를 따로 모아 노출을 해주는 영역이 있는데요.
PC는 메인 페이지의 로그인 하는 곳 하단에 노출되는 트렌드 쇼핑과,
모바일은 어플 메인에서 화면을 왼쪽으로 슬라이드를 하면 나오는 트렌드픽이 있습니다.
트렌드 상품은 모바일보다는 넓은 PC모니터로 보기 때문에,
다양한 상품을 볼 수 있도록 쇼핑몰의 메인 페이지로 랜딩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즉 특정 제품의 구매를 유도하는 것 보다는 자사몰 자체의 유입을 유도하는 소재가 유리합니다.
다양한 구도 컷들을 테스트 하면서 유입이 좋았던 소재들의 특징을 정리해보자면
눈에 딱 들어올 만큼 색감이 화려한 소재, 그리고 쇼핑몰의 전체적인 분위기를 잘 나타내는 모델 전신 컷과
의외로 실착용 컷 보다는 상품 단독 확대 컷이나 옷걸이 컷이 높은 유입을 보였습니다.
또한 동일한 구도컷의 소재여도 자사몰의 최대 할인율 또는 진행중인 이벤트를 문구에 노출 시 더 유입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적극 활용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트렌드픽의 경우는 모바일 지면에서 노출이 되며 소재에 해당되는 상품의 상세 페이지로의 랜딩 등록이 필수 조건입니다.
따라서 판매하고자 하는 제품의 특징이 잘 드러나는 소재를 노출하는 것이 좋습니다.
카테고리를 크게 상의/ 하의 / 원피스와 스커트로 나누어 봤는데요
상의의 경우 제품의 정면컷 보다는
옆모습, 뒷모습 구도컷을 소재로 노출시 클릭이 더 높게 나오며,
하의는 전체적인 이미지 보다는 무릎 위/ 또는 무릎 아래로 제품을 확대하여
디테일이나 재질이 잘 보이는 컷을 노출하는 것이 좋습니다.
원피스와 스커트의 경우 가만히 서있는 사진 보다는
치마가 펄럭이는 동적인 컷을 사용시 클릭이 증가하는 걸 확인 할 수 있었습니다.
소비자들이 소재를 클릭 한다고 해서 전부 다 구매로 이어지지는 않지만,
눈길을 끄는 소재를 통해 유입량을 늘린다면 전환으로 이어질 확률 또한 당연히 올라갑니다!
매체별로 베스트 소재를 빠르게 발굴 해낼 수 있는 마케터를 찾으시거나,
꼼꼼한 모니터링을 통해 여성의류 업계 트렌드를 빠르게 읽고
솔루션을 제시 할 줄 아는 마케터를 찾으신다면 아래의 네임카드 속 번호, 또는 메일로 문의주세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