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럴 마케팅을 위한 SA, DA, VA 이해하기
마케터 이미지
심수빈 마케터
2025-11-04

조회수 : 33

댓글 0
안녕하세요. 심수빈 AE입니다. 여러분은 SA(Search Advertise), DA(Display Advertise), 그리고 VA(Vedio Advertise)별로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아시나요?
디지털 광고는 광고 노출 방식에 따라 크게 세 가지로 나뉩니다.
검색엔진(네이버, 구글 등)에서 사용자가 특정 키워드를 검색했을 때 검색결과 상단이나 하단에 노출되는 키워드 기반 광고 입니다.
즉, "관심이 이미 있는 고객"엑 노출되는 의도 기반 광고죠.
경쟁 키워드의 경우 CPC단가가 상승하는 주의점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두번째로, DA(Display Advertise) 배너광고는 포털, 커뮤니티, 뉴스, 쇼핑몰 등 웹사이트의 배너 영역이나 앱 내 노출되는 광고 입니다.
이미지나 애니메이션 형태로 시각적으로 노출되어 브랜드 인지도 확보에 유리합니다.
전환율은 낮을 수 있지만, 상단 퍼널(브랜딩) 효과가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소재 디자인 구성이 성패를 좌우하는 격이 되겠죠.

VA(Vedio Advertise)는 고객의 '감정과 몰입'을 자극하는 비디오 광고 입니다.
유튜브, 인스타그램 Reels, 틱톡 등 영상 플랫폼에 노출되는 광고로서 스토리텔링 중심으로 브랜드의 가치와 감정을 전달하는 퍼포먼스 혼합형 광고가 되겠죠.

이러한 광고 유형들을 잘 파악해서 적절히 믹스 하는 일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 SA(검색광고): 네이버 파워링크, 구글 Search Ads
- DA(배너광고): 네이버 GFA(Display), 카카오 모먼트 배너광고, 구글 GDN
- VA(비디오광고): 유튜브 TrueView Ads, 메타 Reels·Stories 광고, 네이버 브랜드 영상광고 까지

광고주님들의 선호도와 제품의 현황별로 선별해서 적합하게 기획하실 수 있다는 점은 디지털 마케팅의 큰 강점 입니다.

광고 관련한 문의는 아래 번호로 언제든지 연락 주세요.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마케터자격이수

광고주의 파트너, 디지털 마케팅 전문가 심수빈

네이버, 구글, 메타 매체를 기반으로 한 제품 홍보의 성공을 목표로 실현시키는 마케터 심수빈AE 입니다.


댓글

0

마케팅 인사이트

전체 글 보기
데이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