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 과연 무엇의 약자일까?”

이동규 마케터
2025-11-11
조회수 : 57
댓글 0
안녕하세요.
AMPM Global 광고 퍼포먼스 2본부 1팀 이동규 AE입니다 :)
오늘은 'DB'의 주제를 가져왔습니다.
다들 EC는 무엇의 약자인지 쉽게 아시죠?
하지만 DB는 정확히 무엇을 뜻하는지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이번에 DB업종에서 말하는 DB가 무엇인지, 어떤 의미와 특징을 갖고 있는지 정리해봤습니다.
Q1. EC 업종이란??
A1. 전자상거래(E-Commerce) 업종
= 온라인 쇼핑몰, 브랜드 공식몰, 스마트스토어, 쿠팡 등 상품을 온라인으로 판매하는 모든 업종을 포괄합니다.
Q2. DB업종이란??
A2. 직접 수집한 리드(잠재 고객) 기반 업종 = Database /(DirectBusiness /DirectBuyer)
=광고를 통해 직접 확보한 고객 정보(이름, 연락처 등)를 활용하는 업종
* 일반적인 광고·마케팅 문맥에서는 Datebase 의미가 기본값입니다.
플랫폼 분류나 내부 업종 코드 문맥에서는 “Direct Business / Direct Buyer”로 쓰이기도 합니다.
| 구분 | Database(DB) | Direct(다이렉트) |
|---|---|---|
| 의미 | 고객의 연락처·문의정보 등 데이터를 수집해서 영업/상담으로 이어지는 구조 | 중간 유통 없이 고객에게 직접 판매 또는 상담하는 구조 |
| 핵심 포인트 | ‘데이터 확보’ 중심 | ‘직접 거래’ 중심 |
| 대표 업종 | 보험, 학원, 렌탈, 금융, 부동산, 상조 등 (상담신청형 업종) | 자사몰, 브랜드몰, 직영점 운영 브랜드 등 (B2C 직판형 업종) |
| 광고 목적 | 리드(상담·문의) 확보 → 후속 영업 | 구매 전환(직접 판매) 증대 |
→ 쉽게 보면
EC 업종 = “사람이 사이트에서 직접 결제 눌러요”
DB 업종 = “사람이 전화번호/이메일/이름 남기고 상담 요청해요. 그다음은 영업팀이 처리해요”
DB 업종 = “사람이 전화번호/이메일/이름 남기고 상담 요청해요. 그다음은 영업팀이 처리해요”
ex)
EC 업종: 패션, 뷰티, 홈리빙, 식품, 여행상품(온라인 결제형), 전자기기 등
DB 업종: 학원/교육, 부동산, 보험, B2B SaaS 데모 신청, 견적 문의, 예약 상담 등
** 퍼포먼스 관점 **
EC는 ROAS/매출 중심
DB는 리드당 비용(CPL), 리드 품질, 실제 계약 전환율
EC는 픽셀 기반 자동 최적화
DB는 form-submit, 전화클릭, 카톡상담 등 이벤트 세팅이 훨씬 중요
EC는 광고만 잘 진행 될 수 있게
DB는 광고 + 영업(콜센터) + 내부 프로세스가 성과를 같이 만듦
■ 대표적인 DB 업종 예시
- 교육/학원 계열
- 부동산/분양/임대업
- 금융/보험
- B2B SaaS/솔루션
- 공업/전문 서비스
- 웨딩/라이프서비스
- 병원/의료
■ DB 업종의 공통적인 문제점
1. DB 품질 문제
-
오래된 DB일 경우 반응률·전환율이 낮음.
-
잘못된 DB에 광고를 집행하면 비용 대비 효과 저조.
2. 리드 전환율 낮음
-
문의·신청을 받았지만 실제 구매나 상담으로 이어지는 비율이 낮음.
3. 광고 집행 효율 문제
-
광고 비용은 나가는데, 정확한 성과 분석과 최적화가 어려움.
4. 리드 관리/연락 지연
-
수집한 리드를 빠르게 후속 조치하지 않으면 관심이 사라져 전환 실패.
5. 시장 경쟁 심화
-
동일 DB 확보를 목표로 하는 경쟁사 많음.
정리하면, DB업종에서 핵심 과제는 “양보다 질”이고, 빠른 리드 관리와 정확한 분석이 성패를 좌우합니다.
위와 같이 DB업종에서는 DB 품질, 전환율, 광고 효율, 리드 관리 등 다양한 걱정거리가 존재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문제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최적화 전략을 적용하면, 낭비를 줄이고 성과를 높일 수 있습니다.
저와 함께라면, 복잡하고 부담스러운 걱정거리들을 최소화하고 리드 확보와 전환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첨부 파일
댓글
0
마케팅 인사이트
전체 글 보기 데이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