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AMPM Global 마케터 조보경입니다.
오늘은 패션 의류업종 SNS 광고 문제점과 효율 개선 방향에 대해서 말씀 드리고자 합니다.!
우선,
해당 업체 정보를 간략히 공유 드리겠습니다.
업종 : 패션 의류
타겟 : 20~ 30대 여성
특이 사항 : 비건 의류 소재 사용 / 신생 브랜드
론칭한지 얼마 안 된 여성 의류 브랜드이고, 이 업체의 특징은 비건 의류 소재를 사용한 자연 친화적으로 옷을 생산한다는 점입니다.
저에게 문의가 오셔서 직접 만나 뵙고 미팅 진행 후 현재 함께 하고 있습니다.
대표님의 가장 큰 고민은 바로 이것입니다.
'시장 진입' '브랜드 인지도 강화'
아마 신생 디자이너 브랜드 의류 업체 대표님들의 공통적인 고민이 아닐까, 싶습니다.
자신있게 만들었는데,
사활을 걸었는데 왜 전환이 발생하지 않을까요?
우리 브랜드가 시장에서 매력이 없는 상품일까요?
아마 그렇지만은 않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시장 진입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
우선 우리 브랜드를 알려야겠죠.
알리기 위해 가장 적절한 광고 매체를 찾아야 하는데,
가장 쉽게 접근하기 좋은 매체가 바로 이 메타 (페이스북 / 인스타그램) 광고입니다.
집행 데이터에 대해 말씀 드리겠습니다.
초반 일주일 동안에는 최소 타겟으로만 진행을 하며 추이를 확인하고,
유입 데이터를 통해 이후 캠페인을 재집행합니다.
따라서 초반에는
[트래픽 캠페인]
기존 광고 캠페인 세팅에 대한 값을 먼저 보여드리겠습니다.
CTR 은 조금 낮지만, CPC / CPM 값 모두 전부 평이한 결과입니다.
다만, 트래픽 캠페인이라는 것을 감안 했을 때 그리 좋은 결과는 아닌데요
이후 유입 데이터를 통해 연령대를 나누고, 소재별 타겟층을 나눠 좀 더 심도있게 캠페인 세팅을 수정했습니다.
짧은 테스트 기간이지만
낮아진 CTR 제외, CPC / CPM 데이터 모두 소폭 개선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낮아진 CTR은 지속적인 소재 테스트를 통해 클릭률을 개선할 예정입니다.
테스트 기간이 짧고, 쌓인 모수가 적은 상태에서
캠페인 구성에 따라 값이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간략한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이후 좀 더 모수가 쌓인 이후에는 리타겟팅 - 유사타겟 등 더 진행 후 보여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