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p)
M사 쇼핑검색·파워링크 성과 개선 사례
– 계절 전환기 하락세 방어 & 연말 피크 대비 세팅 –
안녕하세요, AMPM글로벌 양나연AE 입니다.
오늘은 생활잡화 업종 M사의 계절 전환기 성과 하락을 방어하고, 연말 피크 시즌을 대비해 진행한 개선 사례를 소개드겠습니다.
M사는 보온보냉백·틴케이스·테이블매트 등을 판매하는 브랜드로,
여름 시즌에는 ‘보냉백’ 중심으로 높은 전환 효율을 보였지만,
기온이 떨어지는 9~10월 이후 보냉 상품의 수요가 급격히 줄며 ROAS가 자연스럽게 하락하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또한, 크리스마스 시즌이 가장 중요한 브랜드 특성상,
연말 신제품(연말 테이블매트·블랭킷·연말 접시 등)의 노출 확보가 반드시 필요한 상황이었습니다.
이에 따라, 10월에는 계절 전환 대응 + 연말 피크 대비 구조 재정비 중심으로 운영을 진행했습니다.
▶ 1. 광고그룹 구조 재정비 — “비수기 상품 OFF → 연말 주력 상품 중심 재편”

기존에는 보냉백 & 테이블매트 중심 구조였기 때문에 계절성이 크게 영향을 미쳤습니다.
✓ 개선 사항
보냉백/테이블매트 그룹 OFF
연말 시즌 제품군 + 틴케이스 중심으로 신규 그룹 구성
크리스마스 매트
연말 테이블웨어
틴케이스 신제품
-> 비수기 예산 낭비를 막고, 연말 피크 구간으로 예산을 재배치했습니다.
▶ 2. 제품명 최적화 — “보냉백 → 보온보냉백”
검색량 분석 결과, 계절이 바뀌며 ‘보온’ 키워드 검색량이 증가하고 있었습니다.
기존: 보냉백
변경 후: 보온보냉백
-> 계절성에 맞춰 검색 매칭을 확장함으로써, 비수기 대비 트래픽 방어 효과를 확보했습니다.
▶ 3. 벌크 그룹 활용 — “전체 효율 진단 & 고의도 타겟 강화”

벌크 그룹을 자사명과 브랜드명을 제외한 젠체상품으로 나눠 세팅하여
광고의 효율을 극대화 하였습니다.
✓ 운영 방식
전체상품_벌크 그룹
브랜드명을 제외한 전체상품 묶음
최저 입찰가로 세팅해 어떤 제품이 숨은 효율템인지 파악
비효율 키워드가 붙지 않도록 브랜드명 키워드 제외 처리
자사명 검색 유저는 구매 의도가 높기 때문에 전환 효율 최고
이를 별도 그룹으로 분리해 ROAS 극대화
-> “브랜드 유입은 확실히 잡고, 신규 카테고리 유입은 효율 기반으로 테스트하는 구조”를 완성했습니다.
▶ 4. 파워링크 정교화 — “예산 누수 차단 + 구매 가능군 집중”


파워링크는 클릭당 단가가 높은 편이기 때문에, 타겟 정교화가 핵심입니다.
✓ 적용 사항
30세 이상 중심 타겟팅
남성 입찰 가중치 50% 적용
MO(모바일)만 진행 → 불필요한 PC 지출 방지
자사명 파워링크를 별도 그룹으로 분리
입찰가를 낮춰 자연검색과 경쟁하지 않도록 세팅
예산 누수 방지 + 자사명 검색 수익률 상승
-> 전환 가능성이 높은 타겟에게만 예산을 집중하여 효율적 운영이 가능해졌습니다.
▶ 결론
이번 M사 사례는 계절성이 강한 카테고리의 비수기 하락을 전략적으로 방어하고,
연말 피크 시즌 대비 구조를 완성한 운영 사례입니다.
비수기 상품 OFF
연말 주력 상품 중심으로 광고 구조 재편
벌크 그룹을 활용한 효율 탐색
브랜드검색 효율 극대화
파워링크 타겟 정교화로 예산 누수 방지
특히 연말 시즌은 M사에게 가장 중요한 매출 피크이기 때문에,
현재 구축된 구조를 기반으로 11~12월 집중 캠페인에서 성과를 높여나갈 예정입니다.
저는 단순히 광고를 집행하는 것이 아니라,
계절성·제품 구조·유저 검색 패턴까지 분석해 실질적인 매출로 연결되는 구조를 설계하는 마케터입니다.
브랜드의 상황에 맞는 최적화 전략이 필요하시다면,
편하게 문의 주세요.
마케터 소개페이지: https://home.ampm.co.kr/ae-skdus0305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