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f)
안녕하세요 ! ampm글로벌 이한별 대리입니다 :)
처음 온라인 마케팅을 접하시는 대표님들이나 마케터분들은 처음 들어보시는 생소한 단어들에 혼란스러움을 겪기 마련인데요 ㅠㅠ
단어만 봐서는 쉽게 이해하기 힘든 온라인 광고 용어들이 많습니다.
그래서 이제 막!! 온라인 마케팅을 시작하시는 초보자분들에게 1탄, 2탄으로 나누어 용어들에 관하여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
1. 기본용어
- - 노출수 (IMP , Impression) : 광고가 노출되는 횟수를 말합니다.
- 클릭수 (CLK) : 사용자가 키워드를 조회한 후 노출되고 있는 광고를 클릭한 횟수를 말합니다.
- PV (Page View) : 홈페이지에 들어온 사용자가 페이지를 둘러 본 횟수를 뜻합니다. (=유입수)
- 체류시간 (DT=Duration Time) : 임의의 인터넷 사용자가 특정 사이트에 접속하여 머물다가 떠날 때 까지의 시간을 말합니다.
특히 PV와 함께 고객 충성도를 가늠하는 중요한 지표가 됩니다.
** 대표적인 매체로는ADN 가 있습니다. 온사이트 마케팅 방식을 사용하여 효과적인 전환방식을 사용하고있는데요!
사이트 유입 시 유저에게 1. 특정 상품을 추천 하여 즉시 이탈을 방지 하고 상품 탐색을 유도합니다.
해당 상품의 집중도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2. 애니메이션 효과를 추가하기도 하며
3. 빅데이터 분석자료를 기반으로 개인화 맞춤화 상품을 노출시켜 구매를 촉진시키기도 합니다.
4. 상품들이 노출되는 가로/세로 피드 형식 (일반피드, 더블피드, 멀티피드, 듀얼피드, 1단, 3단) 에 따라 유저들의 이목을 집중 시킬 수 있습니다.
주로 가로형에서 더블피드 (상품피드+고정배너 이미지) 와 멀티피드 (상품피드+고정배너 이미지 최대 5구좌) 를 사용하여 노출시킵니다.
사이트 유입 후 특정 페이지 도달 후 유저에게 5. 회원가입, 장바구니, 구매, 결제를 유도하기도 하며 이벤트 안내 등 다양한 메시지를 노출하여
사이트 체류시간을 증대시키고 특정 액션 및 상품 구매 까지 연결 될 수 있도록 합니다.
마지막으로 6. 사이트를 이탈하려는 순간 유저의 키워드나 행동을 분석하고 구매 확률이 높은 상품들을 노출시켜
사이트 이탈 방지와 상품 재 탐색을 통한 구매를 유도합니다.
- UV (Unique Viewer) : 일정 기간 동안 특정 사이트에 중복되지 않고 1회 이상 방문한 고객 수 입니다.
- 랜딩페이지 (Landing Page) : 검색광고의 텍스트나 배너 광고를 클릭 했을 때 연결되는 페이지를 의미합니다.
- 도달률 , 도달 (Reach) : 특정 광고 메세지가 존재할 때 최소한 한번 또는 그 이상 노출 된 이용자의 수나 비율을 의미합니다.
예를들어 한 사람에게 같은 광고가 열차례 노출되었다고해도 도달률은 한번으로 간주합니다.
2. 과금 관련 용어
- CPC (Cost Per Click) : 노출 횟수와 관계없이 오로지 클릭이 발생한 횟수에 따라 정산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자면 네이버파워링크 검색광고중 가 이에 해당이 됩니다!
- CPM (Cost Per Mille) : 1,000회 클릭 당 비용입니다. 총 광고비용을 1,000회의 노출로 나눈 비율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 CPA (Cost Per Action) : 광고를 클릭하여 유입된 고객이 지정된 행위 (회원가입, 구매, 이벤트 참가 등) 을 한 경우에 지불하는 광고형태입니다. 앞서 말씀드렸던 온사이트 마케팅의 기법을 사용하여 유입자가 해당 액션을 취하게 되면 광고비가 과금이 되겠지요?
- CPV (Cost Per View) : 광고 시청당 비용을 뜻합니다. 대부분 동영상 서비스 플렛폼에 사용되나보니 보통 유튜브 매체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동영상 광고가 노출되면 무조건 과금되는 방식이 아니라 15초 30초 등 일정시간 이상 광고를 시청해야 과금됩니다.
- CPS (Cost Per Sale) : 실제 구매가 발생했을 때 광고비용을 지불하는 방식으로 보통은 발생한 매출의 일정 %만큼 광고비를 지불합니다.
- CPI (Cost Per Install) : 다운로드가 발생한 건마다 광고비용을 지불하는 방식으로 모바일 시장 , 특히 게임 업계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광고타입입니다.
오늘은 이렇게 크게 두가지 항목으로 나누어 용어정리를 해보았는데요.
단어들이 다 비슷해서 헷갈릴 수도 있지만, 쪼개서 살펴보면 용어의 의미가 단어 안에 다 녹아져있기때문에 쉽게 이해하실거라 생각합니다!
다음에는 광고 효율 체크를 위한 용어 및 광고의 종류에 관하여 말씀드려보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