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f)
안녕하세요 ~~ AMPM글로벌 이한별 대리입니다.
어제는 광고 기본용어 부시기 제 1탄으로 기본용어 및 과금 관련 용어에 관하여 말씀드렸는데요 ~
요 게시글 먼저 보신 분들 있으시다면 이전 게시글 먼저 보고 오시면 좋으실 것 같습니다 :-)
자 오늘은 광고 효율 체크를 위한 용어 및 광고의 종류 이렇게 크게 두가지로 나누어 말씀드릴건데요,
1. 광고 효율 체크를 위한 용어
1.ROAS/광고수익률 (Return On Ads Spending)
- 포털사이트 광고주가 지출한 광고 비용 대비 발생한 매출로 적은 비용을 들여 매출이 많이 발생할 수록 비율이 높게 나타납니다.
계산식 : 매출/광고비*100
극단적으로 말씀드리자면 같은 매출 1000만원을 뽑아냈다고해도
광고비가 각 각 10만원 , 100만원 들어간 업체가 있다고 하였을 때
광고비를 10만원 지출한 곳은 ROAS가 1000/10*100=10000% ,
광고비를 100만원 지출한 곳은 ROAS가 1000/100*100=1000% 으로 첫번째 광고주가 ROAS 효율이 더 높은거겠죠?
2.CVR/전환율 (Conversion Rate)
- 전환은 광고 등을 통해 사이트를 방문한 사람이 제품 구매, 장바구니 담기, 회원가입 등 광고주가 의도한 행동을 취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계산식 : 전환수/유입수(PV)*100
3.CTR/클릭률 (Click Through Rate)
- 광고 매체에 광고주의 광고가 노출된 횟수 대비 광고 클릭수를 의미합니다.
계산식 : 클릭수(CLK)/노출수(IMP)*100
4.ROI/투자수익률 (Return On Invest)
- 기업이 투자한 비용 대비 발생한 순이익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계산식 : 순이익/총지출액*100
아까 말씀드렸던 ROAS와 헷갈리실 수 도 있을거같은데요,
ROI와 ROAS의 차이점
ROI와 ROAS의 정의를 보면 알 수 있듯, 평가 지표가 다릅니다. ROAS의 경우는 매출을 측정하는 한편, ROI는 이익을 봅니다. 또, ROAS는 광고당 지출과 매출을 측정하는 지표이기 때문에, 광고의 클릭, 노출 및 수익 창출에 얼마나 효과적인 캠페인인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매출이 높다고 수익이 높은 것은 아닌듯, 실제로 회사의 수익성과 연결이 되어있는지는 알아차릴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25만원의 광고 지출로 100만원의 매출을 냈고, 원가가 80만원이라면 ROAS와 ROI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 ROAS = (1,000,000/250,000) X 100 = 400%
- ROI = (-50,000/1,050,000) X 100 = -4.76%
ROAS가 매우 좋은 지표를 보임에도, ROI를 보면 지금 위 회사는 손해를 입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디지털 광고 캠페인을 실행할 때에는 ROI와 ROAS를 모두 파악하고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나의 ROAS의 마지노선을 선정해 두어야 합니다. ROAS만 보거나, 타 회사와의 ROAS를 비교하여 광고 캠페인을 진행한다면 결국 손해만 입는 광고 캠페인을 끊임없이 펼치고 있게 됩니다.
그렇다면 ROI와 ROAS 중 어떤 지표를 봐야할까요?
ROI와 ROAS는 상황에 따라 선택해야 합니다. ROI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ROAS는 전략이 짜여져 있으면 광고 캠페인을 최적화하는 관점에서 선택해야 합니다. 즉, ROI 관점으로 데이터-드리븐 디지털 광고 전략을 짜고 ROAS개선을 통해 광고 최적화를 진행합니다.
2. 광고의 종류
1.검색광고 (Search Advertising, SA)
- 포털사이트에서 검색엔진으로 특정 키워드 검색 시 결과에 노출되는 광고를 의미합니다.
한 키워드에 여러 광고주가 광고요청을 한 경우 경쟁 입찰을 통해 노출 순위가 정해지며 효과적인 키워드 전략을 활용하면 효율적인 마케팅이 가능합니다. 입찰가 경쟁이 있기도 하지만 꼭 그것만이 아닌 품질지수에 따라서도 노출순위가 달라지니 참고하시면 될 거 같습니다. 품질지수 높히는 방법에 관해서는 나중시간에 말씀해드릴게요 ㅎㅎ !
대표적인 검색광고 매체로는 네이버, 카카오(네이트,다음), 구글 등이 있습니다.
2.디스플레이 광고 (Display Advertising, DA)
- 포털사이트의 초기 화면이나 각종 커뮤니티 사이트 등 홈페이지 내에 존재하는 슬롯을 통해 이미지 형태의 광고를 게재하는 형식입니다.
대표적인 디스플레이 광고 매체로는 모비온, GDN, GFA, ADN, 카카오모먼트 등이 있습니다.
위의 업체들은 1번 항목의 검색광고 매체들에 비해 다소 생소하실 수 있으신데요,
이다음에 해당 컨텐츠로 차차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3. 배너 광고 (Banner Advertising)
- 홈페이지 내에 띠 형태의 이미지를 만들어 노출하는 광고 형태를 말합니다.
현수막과 비슷한 모양을 하고 있어 배너 광고 라고 불립니다. 대표적인 DA(Display Advertising)형태이며
일반적으로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노출됩니다.
4. 리치미디어 광고 (Rich Media Advertising)
- 인터넷 또는 모바일의 배너 광고에 새로운 기술을 적용해 보다 풍부한 효과를 주는 형식의 광고를 말합니다. 광고 위에 마우스를 올려놓거나 클릭을 하면 광고 이미지가 변하거나 동영상이 재생되는 등 이용자와 실시간 상호작용이 가능해 기존 방식의 광고에 비해 상대적으로 거부감은 낮고, 주목도와 클릭률은 높은 편입니다. 마찬가지로DA(Display Advertising)형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5.네이티브 광고 (Native Advertising)
- 광고주가 제공한 정보를 토대로 언론 기사와 유사하게 보이도록 디자인된 온라인 광고형태입니다.
일반 기사 콘텐츠와 유사한 형식으로 노출됨으로써 광고에 대한 거부감을 낮출 수 있는 광고입니다.
대표적인 예시로는 SNS 피드형 광고, 기사 형태의 광고, 브랜드 웹툰 광고가 있습니다.
6. 롤링배너 광고 (Rolling Banner Advertising)
- 배너광고의 한 형태로 하나의 배너에 한 광고주의 광고만 걸리는 것이 아니라 2개 이상의 광고가 번갈아 가며 보여지는 광고형태를 말합니다.
일정 시간이 지나면 배너 내의 광고가 바뀌거나 새로 고침 등 페이지에 리셋이 적용될 때 광고가 바뀌는 형식 등이 있습니다
-> 해당 사진은 네이버 메인화면 내의 롤링배너 광고 예시 입니다.
7. 네트워크 광고 (Network Advertising)
- 특정 매체와 계약을 맺고 광고를 집행하는 것이 아닌 신문사 사이트들이나 각종 커뮤니티 사이트들의
배너에 동일한 광고를 집행하는 것을 말합니다 여러 매체에 광고를 집행할 수 있으며 타겟팅이나 리타겟팅 등 특정 관심사를 가진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광고가 가능합니다.
-> 해당 사진은 신문사 사이트 내의 네트워크 광고예시입니다.
네! 오늘은 이렇게 두가지 항목의 용어에 관하여 말씀드려보았습니다 :)
다음 파트에서는 SA매체 중 네이버에 관하여 자세히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시고,
광고 컨설팅 문의가 있으시다면 언제든 연락주세요 감사합니다 ~~!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