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션 / 의류업종 SNS 효율 개선하기 PART. -2-

김한아 마케터
2023-04-26
조회수 : 994
댓글 0
안녕하세요.
AMPM Global 조보경 마케터입니다 !
지난 컨텐츠로 발행했던
패션 / 의류업종 SNS 효율 개선하기 PART. -1-
의 개선 방향에 대해 말씀 드리고자 합니다.
우선, 지난 컨텐츠를 간단하게 복기하도록 하겠습니다.
20~30대 여성이 코어타겟인 의류 브랜드였으며, 특이 사항으로는 비건 의류 소재를 사용하는 신생 브랜드였는데요.
신생 브랜드이다보니 시장 진입 / 브랜드 인지도 강화에 어려움을 겪고 계셨습니다.
기존 발행된 컨텐츠에서 얻을 정보가 부족하여, 간단하게 전 상황을 다시 작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기 세팅된 페이스북 계정의 문제점을 다시 말씀 드리자면,
1. 캠페인 구분 미흡
2. 광고 세팅 구분의미흡
3. 소재 미흡
이렇게 '쓰리 미흡'으로 정리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차 기간 동안 집행된 캠페인 먼저 살펴보면서 문제점 확인하도록 하겠습니다.
1. 캠페인의 부족
이렇게 총 세 개의 캠페인으로 운영중이었습니다.
캠페인을 대중 없이 단순 소재별로만 구분을 하였는데요,
어떤 소재가 사용되는지도 중요하지만, 캠페인을 구분할 때는 뚜렷한 목표를 가지고 구분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이렇게 단순 구분된 트래픽 / 전환의 구분이라던지, 아니면
- 노출이 많이 되는 캠페인
- 유입이 많이 되는 캠페인 등 유입된 데이터에 따라 구분을 해주시거나,
전환 효율에 따라 구분을 해주셔도 좋습니다.
하지만 상기 캠페인은 단지 소재별로만 나누어 두었습니다.
2. 광고 세팅 구분의미흡
캠페인에 따라 광고 그룹은 이렇게 분류가 되어있었습니다.
0317 그룹은 동일한 타겟팅에 소재만 다르게 구분 되어 있고
0320 그룹은 단순히 슬라이드 상품 하나만 구분,
0324 그룹은 전환 캠페인으로, 역시 동일한 타겟팅에 광고 소재만 다르게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3. 소재 미흡
위 이미지는 해당 광고 캠페인에 사용된 소재입니다.
물론, 이런 연출 사진이 브랜딩 하기에는 아주 좋은 소재입니다.
하지만 실제 전환이 발생하는 이미지는, 이런 연출 컷보다, 실제 상품을 착용하고 있고 또 자세히 보여줄 수 있는 이미지입니다.
이렇게 3가지의 문제점이 발생했는데요, 이후 캠페인에서 어떻게 개선했는지 차근차근 보여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캠페인의 부족 -> 개선
기존 캠페인은 동일하게 두고, 효율이 없는 캠페인들은 끄면서 필요와 기준에 따른 새로운 캠페인들을 생성했습니다.
단순히 캠페인의 갯수를 늘리라는 말이 아닙니다.
무작정 캠페인을 여러개 만들어 내는 것은 좋지 못하지만, 또 반대로 광고 효율을 보면서 적절한 시기에 캠페인과 광고 세팅일 바로 바로 변경해주는 것도 필요합니다.
동일한 전환 캠페인이더라도 어떤 목적으로 광고 세팅을 생성하고 소재를 사용하는지 분명하게 구분을 해주셔야 합니다.
2. 광고 세팅 구분의미흡 -> 개선
여기서 세 개의 캠페인 광고 그룹을 예시로 보여드리겠습니다.
동일한 타겟팅으로 구분하는 것이 아닌, 연령대 / 인구통계타겟팅 / 리타겟팅 / 유사타겟 등의 타겟을 달리하며 진행을 해야 합니다.
이렇게 해야 우리 상품이 어떤 연령대와 관심사에게 소구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점차 타겟팅을 세분화하고 좁혀가는 것입니다.
이렇게 점차적으로 전환율을 잡아가는 과정입니다.
3. 소재 미흡
위 이미지는 한 광고세트 내에 있는 광고 중 일부입니다.
기존 연출컷으로만 세팅되었던 광고에, 이렇게 실제 착용 사진을 보여주며 이미지 내 상품 태그까지 걸어두어 전환율을 올리고자 했습니다.
오늘은 광고 캠페인을 어떻게 수정하는지 차근차근 함께 해보았습니다 !
의류업종 SNS 광고 어렵지 않아요 !~!
댓글
0
마케팅 인사이트
전체 글 보기 데이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