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광고에 대해 관심이 있으신 분들께서 검색광고를 진행하시기 전에 알고 가시면 좋을 거 같아서 작성했습니다.
1.검색광고의 개념
① 특정 키워드를 네이버, 카카오. 구글 등의 검색엔진에 검색했을 때. 검색 결과에 노출되는 광고
② 이용자의 능동적인 검색 활동을 통해 정확한 타겟팅이 가능한 광고
③ 양질의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해 검수 과정을 거친 광고
④ 키워드광고, SEM(Search Engine Marketing), SA(Search Ad), 유료검색(Paid Search)라고도 함
2.검색광고의 참여 주체
① 광고주: 검색엔진을 통해 자사의 웹사이트를 노출하고자 하는 기업으로 광고주 가입을 통해 키워드를 구매
② 광고대행사: 광고주를 위해 광고 전반을 전문적으로 대행하는 업체로 광고의 기획부터 운영, 성과 보고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그 대가로 매체사 또는 광고주로부터 대행 수수료를 받음
③ 포털사이트: 네이버,다음,구글 등 검색페이지 지면을 제공하는 곳
3.검색광고의 장단점
(1) 장점
① 특정 키워드를 검색했을 때, 검색 결과에 노출되는 광고
② 정보를 찾기 위해 검색하는 이용자에게 검색어와 관련한 상품/서비스 정보를 노출하는 타겟팅형 광고
③ 클릭을 했을 때만 과금되는 CPC광고로 운영돼 효율적
④ 광고효과를 즉시 확인 가능
⑤ 매체사의 실시간 광고시스템을 통해 탄력적 운영과 관리 가능
⑥ 광고 대행업체를 통하거나 매체사의 광고시스템을 통해 직접 운영 가능
⑦ 직접 키워드를 검색한 구매 의도를 가진 고객을 유입시켜 비교적 높은 광고 성과 기대
(2) 단점
① 관련 키워드를 검색한 사람들에게만 광고가 노출되기에 초기 브랜딩 광고로는 부적절
② 광고주간의 치열한 경쟁으로 입찰가가 과도하게 높아질 수 있음
③ 부정클릭 발생을 방지하기 어려움
④ 실시간으로 탄력적 운영이 가능하지만, 이에 따라 관리 리소스가 많이 투여됨
4.과금 방식에 따른 구분
(1) 정액제 광고
① 월 단위 등의 일정 계약기간을 기준으로 광고 비용을 지불하는 광고 방식
② CPM 광고로도 불림
③ 주로 배너광고(디스플레이 광고, DA)에 사용
(2) 종량제 광고
① 소비자가 검색이나 배너광고를 클릭한 횟수를 근거로 지불하는 광고 방식
② CPC광고로 불림
③ 클릭당 과금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정액제 광고에 비해 합리적이며 저렴
④ 주로 검색광고(SA)에 사용
이 정도로 기초 개념을 알고 가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