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팅 모르는 사람 다 들어와! 유용한 광고 용어 총정리집! 2탄
마케터 이미지
김상현 마케터
2023-05-11

조회수 : 736

댓글 0

안녕하세요마케팅꿈나무분들!

오늘도 어김없이 돌아온 박종민 AE입니다.


유용한 광고용어총정리집 2탄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1. 광고 캠페인, 광고 그룹


캠페인 > 광고 그룹 > 광고 소재


1) 광고 캠페인 

광고를 집행하기 위해서는  캠페인이 필수적으로 존재해야 하는데

변하지 않는 정보인 일 예산, 일정, 위치정보를 입력하는 영역입니다.

캠페인은 목적에 따라 여러 개를 생성할 수 있으며,

1개의 캠페인에는 한 개 이상의 광고 소재가 존재합니다.

즉 캠페인은 다수의 광고의 집합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2) 광고 그룹

키워드, 입찰가. 광고 소재, 랜딩 페이지 등을 설정하는 영역으로 검색광고에서

가장 중요한 영역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광고 소재나 입찰가가

동일하기 때문에 비슷한 성향과 목적을 가진 키워들을

같은 광고그룹으로 두는 게 좋습니다.



2. 광고 소재 / 확장 소재


1) 광고 소재


키워드 검색을 통해 유저에게 보이는 검색 광고의 제목, 설명, URL 등을

광고 소재라고 부릅니다. 광고 소재가 없을 경우에는

검색 광고를 진행할 수 없습니다.


2) 확장 소재


이미지, 전화번호, 홍보문구, 가격, 이벤트 등 기본적인 광고 소재를 제외한

추가적인 웹사이트 URL을 확장 소재라고 부릅니다. 광고주의 목적에 따라

확장 소재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자동입찰


1편에서 설명드렸듯 검색 광고는 입찰가를 제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는데, 광고마다 일일히이 직접 설정을 해야 하는 불편을

덜어주기 위해 목적에 따라 자동 입찰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목적 ex. 클릭수 최대화, 전환수 최대화 등



4. 일치, 확장 검색


1) 일치 검색

유저가 내가 타게팅 하고 있는 키워드와 정확하게 일치하거나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 유사 검색어를 검색할 때만

내 광고를 노출시키는 키워드 설정입니다.

ex) 일치 검색은 키워드로 '신발'을

추가한다면 '신발', '슈즈'와 같은 단어에만 광고가 게재됩니다


2 )확장 검색

유저가 내가 타게팅하고 있는 키워드를 포함하고 있는

검색어 구문이나 유사한 구문, 동의어, 파생어 등을 검색할 때

내 광고를 노출시키는 키워드 설정으로 최대한 많은 잠재 고객들에게

광고를 노출시킬 수 있는 방법입니다. 조심해야 할 점은 자동 입찰이 아닌 수동 입찰 기능을 사용하는

광고주가 '확장 검색'을 설정하면 관련성 낮은 키워드에 광고비를 지출할 위험이 있습니다.

ex) 확장 검색은 키워드로 '신발'을 추가하면, '부츠', '등산화'와 같이 '신발'이 포함되거나 '신발'이 포함되지 않았지만 유사한 의미를 가진 키워드에서도 검색광고가 노출이 됩니다.



3) 노출 점유율


해당 키워드로 내 광고가 게재될 수 있었던 노출 수 대비

실제 광고가 노출되었는지를 보여주는 값입니다.

총 대상 노출수는 타게팅, 광고 승인 상태, 품질 등의 여러 요인을 사용해서 추정합니다.



4) 클릭 점유율


해당 키워드로 발생한 전체 클릭수 대비

실제 내 광고가 얼마나 클릭을 받았는지 보여주는 값입니다.



5) 최적화


광고를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목적에 맞게 소내, 내용, 입찰 전략 등을 바꾸어

가장 효율적으로 성과를 낼 수 있는 최적의 상태를 찾아가는 과정을 말합니다.



6) 리마케팅


특정 웹사이트나 앱을 방문해 특정 행동(장바구니 담기, 상세페이지 보기 등)을 한 적이 있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이전에 봤던 상품(서비스)나 웹사이트 광고를 보여주는 것을 말합니다.

높은 전환율을 나올 수 있으나 광고비가 많이 집행되기 때문에 전략적으로 사용해야 합니다.



7) 네이티브 광고


광고임에도 불구하고 웹사이트나 광고처럼 느끼지 않게 제작하여 광고에

대해 느끼는 거부감을 최소화하여 매체 이용 경험을 해치지 않기

위한 목적으로 주로 사용됩니다. 웹사이트나 앱 내의 콘텐츠의

톤 앤 매너에 맞게 제작되며 대표적인

예로는 인스타그램 피드에 뜨는 스폰서드 광고가 있습니다.



8)인벤토리


매체에서 광고 노출을 시킬 수 있는 영역을 포괄적으로 일컫는 단어로,

인벤토리가 없다는 말은 매체 모든 광고 영역이 다른 광고주들에게 의해

판매되었다는 것을 뜻합니다.



9) 구좌수



하나의 배너광고 위치에 들어갈 수 있는 광고의 수를 나타냅니다.

 ex) 5구좌는 5개의 광고가 사용자들에게 돌아가면서 보인다는 뜻입니다.

이를 '로테이션' 또는 '롤링'이라도 합니다.


9) CPP(Cost Per Period)


일정 기간 동안 고정된 금액으로 광고비를 지불하는 방식입니다.

클릭당 비용과는 다르게 일정 기간 노출을 보장받기 때문에, 잘 활용하면 적은 비용으로

많은 노출을 할 수 있는 것이 장점입니다.



9) 프리퀀시(빈도)


유저 한 명이 광고에 노출된 평균 횟수를 말합니다.

프리퀀시 갭은 하나의 광고가 동일한 유저에게 최대 노출 횟수를 설정하는 것으로

잘 활용하면 클릭률을 높이고 광고 피로도를 낮출 수 있습니다.



10) CTA(Call To Action)


광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매자의 반응을 유도하는 버튼입니다.


여기까지 알아두면 유용한 광고 용어를 알아봤는에 어렵진 않으셨나요?

앞으로도 좋은 콘텐츠 많이 올리실 테니 기대해주세요!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 감사합니다!

검색광고마케터1급GAIQ구글애널리틱스SNS광고마케터

확실한 성과와 결과를 원하신다면! 저와 함께 하세요

ROAS 최대 10배 개선, 5,000%이상 달성 
DB단가 절감 50% 이상, 성과 효율 개선 레퍼런스 보유 多

sanghyun.k@ampm.co.kr
02-6049-4030

댓글

0

마케팅 인사이트

전체 글 보기
데이터가 없습니다.
광고상담은 채팅으로 문의하세요.
몇 분 내 답변 받으실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