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시간에 개념 및 참여 주체, 장단점, 과금방식에 따른 구분을 배웠으니
이번 시간엔 검색광고 용어 및 검색광고 노출 효과에 대해 설명해보겠습니다.
(1) 검색광고 용어
1. 대표 키워드 : 업종을 대표하는 키워드로 잠재고객들이 쉽게 검색하여 광고를 많이 노출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광고주 간의 입찰 경쟁이 치열하며 광고비 지출이 높을 수 있다는 단점이 있음
2. 세부 키워드: 대표 키워드의 하위개념으로 구체적인 서비스명이나 제품명, 지역명, 수식어를 조합한 키워드. 저렴한 입찰가로 광고를 노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검색되는 수는 작다는 단점이 있음
3. 시즈널 키워드: 특정 시기나 계절에 따라 조회수와 광고 효과가 급증하는 키워드
4. 이슈 키워드: 특별히 중요하게 논의되는 주제나 쟁점 관련 키워드
5. T&D(Title & Description): 검색광고에 노출되는 제목과 설명
6. URL: 검색 결과에 노출되는 URL인 표시URL과 광고 클릭 시에 도달되는 랜딩페이지인 연결 URL로 구분
7. 광고소재: 검색 결과에 노출되는 광고 메시지
8. 확장소재: 일반 광고소재 외에 전화번호, 위치정보, 홍보문구 등을 추가한 광고 메시지
9. 순위지수: 노출 순위를 결정하는 지수( 노출 순위는 입찰가와 품질지수에 의해 결정)
10. 품질지수: 광고의 품질을 나타내는 지수(네이버, 카카오는 품질지수, 구글은 품질평가점수로 명칭)
11. 랜딩페이지: 검색엔진. 광고 등을 통해 방문하게 되는 페이지로 메인페이지가 될 수도 있고 카테고리나 제품 상세페이지, 이벤트 페이지가 될 수도 있음 (연결페이지로도 불림)
12. PV(Page View): 사용자가 홈페이지를 열어본 횟수. 즉 사용자가 특정 사이트 내의 홈페이지를 클릭하여 열어본 수
13. UV(Unique View): 중복되지 않은 방문자 수
14. DT(Duration Time): 방문자가 사이트에 들어와서 체류한 시간
15. 반송수(Bounces): 광고를 통해 랜딩페이지에 도달한 이용자가 더 이상 다른 페이지 이동 없이 랜딩페이지에서 방문을 종료 또는 바로 이탈한 수
16. 반송률(Bounce Rate): 방문자 수 대비 반송수의 비율=이탈률(Exit Rate)
17. 전환(Coversion): 광고를 통해 사이트로 유입 후 특정 행동을 취하는 것
18. 직접전환수: 광고클릭 이후 30분 이내 마지막 클릭으로 발생한 전환 수
19. 간접전환수: 광고클릭 이후 30분부터 전환 추적기간 내에 발생한 전환 수(추적기간은 7~20일)
20. KPI(Key Performance Indicators): 핵심성과지표. 수치로 표현 가능한 광고의 목표
(2) 검색광고 노출효과
1.노출수: 광고가 노출된 횟수로 검색광고에서는 검색 사용자에게 광고가 노출된 횟수
2.클릭수: 광고가 클릭된 횟수
3.클릭률(CTR - Click Thorugh RATE/RATIO): 노출수 대비 클릭수의 비율. 클릭률= 클릭수/노출수x100
4.전환율(Conversion Rate): 클릭수 대비 전환이 일어난 비율. 전환율=전환수/클릭수x100
5.ROAS(Revenue On Ad Spend): 광고비 대비 (전환) 매출액. 광고를 통해 발생한 매출을 광고비로 나눈 값. ROAS= (전환)매출액/광고비x100
6.ROI(Return On Investment): 투자 대비 수익률로 광고를 통해 발생한 순수익을 광고비로 나눈 값.
ROI= 순이익/투자비용x100
7.CPA(Cost Per Action): 전환당 비용. CPA= 광고비/전환수
8.CPS(Cost Per Sale): 구매당 비용. CPS= 광고비/구매건수
9.CPC(Cost Per Click): 광고비를 클릭수로 나눈 클릭당 비용. CPC=광고비/클릭수
10.CPM(Cost Per Mile): 광고가 1000번 노출됐을 때의 비용(주로 배너 광고에 쓰임)
CPM=광고비/노출수x1000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