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은 검색광고 무효클릭 관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무효클릭의 개념
①검색광고 본래의 취지에 맞지 않은 무의미한 클릭
ⓐ광고비 소진, 품질지수의 상승 등 특정 이익 혹은 악의적 목적으로 행해지는 인위적 클릭
ⓑ자동 프로그램, 로봇 및 기타 부정한 목적의 소프트웨어에 의해 발생하는 클릭
ⓒ사용자의 더블클릭 등과 같이 무의미하거나 클릭 의도가 없었다고 판단되는 클릭
②네이버, 카카오, 구글은 사전 및 사후 모니터링을 진행
③필터링 로직과 필터링 결과는 악용할 가능성이 있어 공개하지 않음
④무효 클릭으로 의심되는 IP는 광고가 노출되지 않도록 제한하거나 신고 가능
⑤무효 클릭으로 판단되는 클릭은 과금되지 않으며, 계정 데이터 및 보고서에서 제외됨
(2)매체별 무효클릭 관리
1)네이버의 무효클릭 관리
①무효클릭이 의심될 경우: 클릭 일시, 광고 노출이 이뤄진 검색 키워드, 광고를 클릭한 기기의 IP주소, 광고 게재 중인 URL 정보를 포함한 클릭 로그를 클린센터에 제시해 재검토 요청
②광고가 노출되지 않기를 희망하는 IP가 있을 경우 광고 노출 제한 관리에서 IP를 등록해 광고 노출 제한 가능
③광고노출 제한 IP는 최대 600개까지 등록 가능
④유동 IP는 마지막 네 번째 자리에 와일드 카드를 이용해 차단 가능
(단, 유동 IP차단을 위해 IP를 블록으로 차단할 경우 일반고객까지 차단할 수도 있으므로 주의
⑤사이트 방문자 IP는 호스팅업체 또는 별도의 로그분석 시스템을 통해서 확인 가능
2)카카오의 무효클릭 관리
①무효클릭을 '일반적으로 유저의 검색 패턴에서 벗어난 클릭'으로 정의
②무효클릭으로 판단되는 클릭은 과금되지 않으며 계정 데이터 및 보고서에서 제외
ⓐ유저의 더블클릭 등과 같이 클릭 의도가 없었다고 판단되는 클릭
ⓑ자동 프로그램, 로봇 및 기타 부정한 목적의 소프트웨어에 의헤 발생한 클릭 및 노출
ⓒ카카오 내부 IP에서 발생한 클릭
③무효클릭이 의심될 경우: 클릭일(날짜), 의심키워드, 의심IP, 해당 정보를 포함한 클릭 로그파일을 고객센터 및 상담 챗봇을 통해 무효 클릭 발생 가능성 검토 요청
(접수일로부터 최근 1개월 이내 데이터만 확인 가능)
④카카오는 광고 효율 증대를 목표로 광고노출 로직 최적화, 확장검색로직 정교화 및 무효클릭 로직 강화 작업 등을 실시 중
⑤광고가 노출되지 않기를 희망하는 IP나 사이트가 있을 시 노출 제한 설정 메뉴에서 IP 및 사이트를 등록해 노출을 제한할 수 있음
⑥광고노출제한에서 IP는 최대 500개까지 등록이 가능
⑦유동 IP는 마지막 네 번째 자리에 와일드카드를 이용해 차단 가능
3)구글의 무효클릭 관리
①'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클릭이나 악성 소프트웨어로부터 발생한 클릭 등 구글에서 불법으로 간주하는 광고 클릭'을 무효클릭으로 정의
ⓐ광고비 및 광고 호스팅 웹사이트 소유자의 이익을 늘리기 위한 인위적 클릭
ⓑ자동화된 클릭 도구, 로봇 또는 기타 사기성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클릭
ⓒ더블클릭의 두 번째 클릭처럼 광고주에게 무의미한 클릭
②광고에 발생한 각 클릭을 검사해 무효클릭 및 노출을 파악하고 계정 데이터에서 삭제
③무효클릭이 확인되면 해당 클릭에 대해 비용이 청구되지 않도록 보고서 및 결제금액에서 자동으로 해당 클릭을 자동으로 필터링
④자동감지 시스템에서 잡아내지 못한 무효클릭으로 의심되는 경우:
조사요청 60일 이전에 발생된 날짜, 캠페인 이름, 광고그룹 이름, 및 활동의 영향을 받는 키워드, 의심 사항에 대한 이유 등을 제시하여 구글에 무효클릭에 대한 계정 조사를 요청
⑤무효클릭으로 인정되면 해당 클릭에 대해 '무효활동 조정 크레딧'을 받을 수 있음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