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십니까 AMPM 글로벌 컨설팅본부 4팀 서정현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Meta광고 마지막 주제로 이야기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1. 광고예산
그렇다면 광고예산은 어떻게 잡는게 좋을까요? 얼마부터가 적당할까요..?
예산을 얼마라고 딱 정하기가 애매하기는 한데요.
메타광고를 집행하시는 대부분의 대표님들께서는 소재 1개기준
일 예산 3~5만원 정도 사용하고 계신다고 합니다.
왜 3~5만원 정도를 세팅하냐 라고 질문을 하실수도 있을거같은데, 저렇게 하루 3~5만원 정도의 광고를 집행하고 효율을 체크했을 때 효율이 좋다 나쁘다를 결정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 2.광고 최적화
메타광고는 효율 안좋은 광고를 몇날 몇일을 돌려도 절대 효율이 좋아지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이러한 점 때문에 광고 최적화를 통해 효율 좋은 광고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쉽게 얘기하면 광고를 세팅하고 예산 설정하신다음 광고를 계속 켜놓고 집행하시는게 아니라
효율이 좋은 광고는 예산을 올려주시고 효율이 좋지않은 광고들은 조금씩 예산을 줄여가시면서 키고 끄고 광고를 집행하시면 되겠습니다.
3.부가세
광고주 분들께서 모르실 수 도 있으실거 같아 이 내용도 포함 하겠습니다 !
광고 관리자에 들어가 청구서를 보면 결제설정 맨아래에 비즈니스정보 가 있는데 여기서사업자 등록번호 를입력하면 광고비 10% 절감이 됩니다.
메타광고는 기본적으로 광고비의 10프로 부가세가 붙어 집행이되는데 광고비 100만원을 쓰셨다면 실제 결제 비용은 110만원이 되는 것 입니다.
사업자 번호를 입력하지 않았기 때문에
메타에서 B2C거래로 취급하여 부가세를 청구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비즈니스 정보에 사업자 번호를 넣을시 B2B거래로 인식하여 부가세 청구를 하지 않습니다.
이렇게 Meta광고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도움이 되셨을지는 모르겠지만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하고 다음에 더 좋은 컨텐츠로 뵙도록 하겠습니다 .
감사합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