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오늘은 주요 SNS플랫폼과
디지털 마케팅의 트렌드를 반영하는 용어 몇 가지에 대해 설명해 보겠습니다.
ㅡ주요SNS플랫폼ㅡ
1.Facebook
①2004년 2월 4일 마크 저커버그가 설립
②세계 최대의 SNS플랫폼
③확장성과 개방성이 뛰어남
2.Instagram
①2010년 설립
②2012년 현 Meta가 인수
③Instant Camera와 정보를 보낸다는 의미의 Telegram을 합쳐 만든 것
④Meta에서 운영하고 있는 이미지 공유 중심의 소셜 미디어
3.Youtube
①2005년 2월 14일 설립
②2008년 12월 Google이 인수
③세계 최대 규모의 비디오 플랫폼
④You와 텔리비전을 가리키는 Tube의 합성어
4.Twitter
①2006년 서비스 시작
②140자의 짧은 포스팅으로 이루어진 SNS
5.TikTok
①중국의 바이트댄스가 개발해 2016년부터 서비스 시작
②15초에서 10분의 짧은 포맷의 영상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플랫폼
③음악과 결합된 챌린지에 많이 활용되는 서비스로 미국 대중음악 시장에도 큰 영향을 미침
6.WhatsApp
①2009년에 개발
②2014년 Meta가 인수한 메신져 앱
③광고가 없음
7.Messenger
①현 Meta에서 개발한 모바일 메신저
②2011년 서브시 시작
③우리나라의 경우 10대들의 이용률이 높고 카카오톡 다음으로 이용자가 많음
8.Linkedin
①2002년에 개발된 세계 최대의 비즈니스 전문 소셜미디어
②2016년 Microsoft가 인수
③페이스북이 본인의 '사적인 인적사항' 등을 적어놓는 친목 위주의 소셜 네트워크라면 링크드인은 본인의 스펙을 작성
9.카카오톡
①2010년부터 서비스 중인 유저수 약 5천만 명, 다운로드 수 1억 회 이상의 모바일 메신저
②2010년 3월 iOS용 앱 출시, 8월 안드로이드용 앱 출시
③2013년 Mircrosoft Windows용 버젼 출시
10.네이버 밴드
①2012년 8월 출시, 2년 만에 3500만 다운로드를 기록
②폐쇄형 SNS로 시작했으나 현재는 개방성이 크게 개선된 커뮤니티 형태로 운영 중
③주제별 모임, 취미 모임, 커뮤니티에 특화된 소셜미디어 플랫폼
④스마트폰 뿐만 아니라 웹에서도 이용할 수 있으며 네이버 밴드 PC버젼을 제공
11.라인
①네이버 제팬이 만든 메신저 앱
②일본 내에서 부동의 1위
③국내에선 카카오톡, 페이스북 메신저에 이어 3위
ㅡ디지털 마케팅의 트렌드를 반영하는 용어ㅡ
1.메타버스
:초월, 가상을 의미하는 Meta와 세계를 의미하는 Universe의 합성어. 소셜미디어 플랫폼을 활용해 정치, 경제, 사회, 문화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가상의 환경을 의미함.
2.밈(meme)
:동물학자 리처드 도킨스의 저서 '이기적 유전자'에서 처음 제시한 학술 용어. 인터넷 보급과 함께 채팅이나 UCC활동을 할 때 쓰이는 필수요소 같은 문화적 요소를 일컫는 말로 변화했으며 디지털 놀이문화를 뜻하는 것.
3.브이로그
:동영상을 뜻하는 Vidoe와 기록을 뜻하는 log의 합성어. 유튜브 등의 동영상 플랫폼에서 유행했던 영상 콘텐츠 형태의 하나.
영국 BBC방송 비디오네이션이라는 시리즈물에서 유래함.
4.라이브 커머스
:채팅으로 소비자와 소통하면서 상품을 소개하는 스트리밍 방송을 말함. 가장 큰 특징은 '상호 소통'이며, 생방송이 진행되는 동안 이용자들은 채팅을 통해 진행자, 혹은 다른 구매자와 실시간 소통할 수 있다.
5.페르소나
:마케팅에서 제품/서비스를 사용할 핵심 고객을 이해하기 위한 가상의 고객을 지칭하는 말. 고대 그리스 시대의 배우들이 쓰던 가면을 가리키는 단어에서 유래됨.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