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AMPM글로벌 한태규입니다 :)
오늘은 META 내 스마트스토어 랜딩 왜 안될까?
라는 주제로 간단하게 말씀 드리려고 합니다.
META 스폰서드 광고를 처음 집행하시거나 자사몰 마케팅이 익숙치 않은 분들이 있으시죠?
이 경우 종종 스마트스토어를 통한 랜딩을 요청 주시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왜? 스마트스토어에서 적용이 어려울까요?
결론만 말하자면 가능은 하지만 굳이 왜? 입니다.
굳이라고 말씀 드린 이유가 있겠죠?
첫번째 이유는 META 픽셀 때문입니다.
META 광고를 집행하시는 이유 중 여러 이유가 있으시겠지만, META가 제공하는 픽셀 이를 통한 유사 및 확장 타겟 등을 노리시는 부분이 분명이 있을겁니다.
(맞춤 및 유사타겟 예시)
하지만 스마트스토어는 구조상 META 픽셀 삽입이 어렵습니다.
(간혹 가능하다 하시는 경우가 있는데, 해당 경우는 META 스크립트가 정상적으로 삽입되지는 않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그렇다면 타겟을 통한 맞춤, 유사 타겟 확장이 어렵겠죠?
두번째 이유는 성과 측정 때문입니다.
단순한 노출, 클릭, 소재 반응도 등은 체크가 가능하지만, 스마트스토어 랜딩 시 랜딩 페이지 내 발생하는 이벤트 값은 측정이 불가합니다.
이경우 사실상 확인이 어렵죠. 그렇기 때문에 META성과가 어떻게 집행되고 있을지 객관적인 지표 확인이 어렵습니다.
예산의 고저를 떠나 성과 확인이 어렵다면 해당 매체에 대한 평가가 어렵고, 전체 성과가 낮아질 경우에도 원인분석이 어려워집니다!
(성과 측정 예시)
-> 스마트스토어 랜딩 시 상기와 같은 전환, 구매 같은 이벤트 값이 0로 표기 됩니다.
이렇듯 두가지 이유로 META 랜딩은 가급적 자사몰 집행을 권장 드립니다!
모든 E커머스 업종의 최종 종착은 결국 자사몰, 자사앱 입니다.
이를 유념하시어 초기 집행 시 투자 및 전략을 수립하는게 중요할 듯 합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