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AMPM글로벌 광고퍼포먼스 2본부 1팀 박소현마케터입니다.
오늘은 네이버GFA에 대해 얘기해보려하는데요. GFA의 반대 개념이라 할 수 있는 NOSP와 비교하며 설명드리겠습니다.
한국 인터넷 점유율 60%에 육박하는 네이버에 광고 집행을 희망하지 않는 사업주가 있을까요? 그만큼 네이버는 한국 광고업계에서 매력적인 매체임이 틀림없습니다. 하지만 NOSP (보장형 광고 상품 구매 플랫폼)의 다소 높은 단가로 인한 진입장벽이 있었던 것도 사실인데요. 이러한 문제 타개를 위해 네이버에서 선보인 성과형 광고 플랫폼이 바로 GFA입니다. 오늘은 누구나 접근 가능한 성과형 광고 플랫폼 GFA에 대해 말씀드려보겠습니다.
[NOSP vs GFA]
NOSP와 GFA의 가장 큰 차이점은 셀프 서빙, 즉 자율성입니다. NOSP는 정해진 지면을 특정 시간 동안 구매하는 방식이 대부분인데요, 모바일 네이버의 첫 페이지에 주목도 높은 스페셜DA가 바로 대표적인 예죠. 3시간 혹은 2시간 동안 모바일 처음 페이지를 점유하는 것은 브랜딩 목적의 캠페인에 아주 솔깃한 상품입니다. 이와 같이 일정 시간을 구매하는(CPT) 상품 외에 CPM 예산을 설정하는 상품의 경우에도 일정한 노출 수가 보장된 상품들로 이루어져, NOSP는 자율성은 낮을지라도 어느 정도의 트래픽이 보장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그에 비해 GFA는 퍼포먼스 목적에 초점을 두어 마케터가 과금 방식, 예산, 타겟팅을 설정할 수 있는 자율성을 부여함으로 다양한 KPI 달성을 지원하는데요, 따라서 셀프 서빙 플랫폼인 GFA는 적은 예산으로 네이버에 광고를 집행하고 싶거나 특정 KPI를 달성해야 할 때 더없이 탁월하죠. 만약 광고 집행을 희망했던 기간에 NOSP 인벤토리 잔여 물량이 없다면 어떨까요? GFA와 NOSP에 동시 판매되는 구좌에 대해서는 걱정할 필요 없이 실시간 입찰가로 인벤토리를 구매하여 희망하는 기간, 시간에 자유롭게 광고 집행을 할 수 있습니다.
GFA의 또 한 가지 장점은 유연한 계정 체계가 인데요. GFA는 NOSP와 다르게 광고 집행을 위한 ‘광고계정’ 뿐만 아니라 여러 광고 계정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계정’을 만들 수 있습니다. 광고계정 및 관리계정에 멤버 추가도 용이하여 다양한 운영 환경과 조직 구조에 맞는 최적의 계정 구조를 통해 광고 집행을 가능하게 하는 셀프 서빙 플랫폼이라 할 수 있습니다.
[GFA 광고는 어디에 노출될까?]

GFA는 크게 네이버와 밴드에 노출됩니다. 위의 사진에서 볼 수 있듯이 메인의 주제판, 서브의 주제판 상세, 카페와 밴드 피드에 광고를 집행할 수 있으며 세부 노출 위치까지 설정도 가능하죠.
[끊임없는 고도화]
또한 GFA는 출시한 지 얼마 안 된 따끈따끈한 플랫폼인 만큼 계속해서 발전하고 있습니다. 네이버에서 새롭게 선보인 스마트채널 또한 GFA에서 집행이 가능합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