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로 본론으로 들어가겠습니다.
검색 광고 = 파워 링크 광고= 사이트 검색 광고
검색 결과 상단에 노출되기 때문에 다른 정보보다 내 상품을 가장 먼저 보여줍니다.
세팅할 때, 광고주가 키워드를 직접 선택하고 광고 문구를 직접 작성해야 합니다.
광고 문구는 기본적으로 링크, 제목, 설명 문구가 있고
추가적으로 확장 소재에서는 가격 링크, 홍보 문구, 서브 링크가 있습니다.
과금 방식은 CPC(cost per click)으로 클릭당 과금 방식입니다.
비용 = 입찰가 x 클릭수
키워드의 인기도, 경쟁 강도에 따라 입찰가는 최소 70원~최대 10만 원 사이에서 자유롭게 설정합니다.
근데 무조건 내가 설정한 단가만큼 과금되지 않아요.
이게 무슨 x 소리냐고요?
예를 들어, 제가 만약에 복숭아를 판매한다고 해볼게요
입찰가를 100원으로 세팅하면 광고 1번 클릭 시 과금 되는 최대 금액은 실제 내가 입찰한 가격보다 아래 순위의 광고 입찰가로 계산됩니다.
쉽게 말씀드리면 2등이 80원에 세팅했어? 그러면 내가 90원에 해도 1등이 되는데 100원에 하면 억울하죠?
그래서 자동으로 90원이 과금되는 시스템입니다.
그러면 광고 클릭이 200회가 되었다면? 총비용은 2만 원이 안 되겠죠?
키워드 광고는 입찰가가 너무 비싸다는 얘기를 듣고 겁먹는 초보 사업자분들이 많은데요
누구나 흔히 아는 대표 키워드만 생각하셔서 그렇습니다.
근데 저희의 그동안 경험상 레드오션에서 벗어나 블루오션 키워드를 잘 세팅하시면
오히려 적은 금액으로 더 많은 효율을 낼 수 있으세요.
예를 들어 사과를 검색해 볼게요.
아래 보시면 같은 사과임에도 클릭 비용 차이가 최대 2배까지 나죠?
그럼 내 노출 순위는?
네이버가 원하는 건 이용자들에게 질 좋은 정보를 제공하는 겁니다.
그렇기에 노출 순위 방식은 단순히 입찰가가 높은 순서로 되는 게 아니라
입찰가와 품질 지수로 결정됩니다.
여기서 살짝 헷갈리실 거에요
쉽게 설명드릴게요
노출 순위 = 입찰가 x 품질 지수 ( 품질 지수가 높으면 적은 입찰가로 높은 순위 가능)
비용 = 입찰가 x 클릭수 (클릭할 때마다 위에 세팅된 입찰가가 매번 과금)
그러면 품질 지수는 어떻게 결정될까요?
네이버 측에서는 키워드와 소재 연관도, 광고 효과, 사이트 관련성이라고 두루뭉술하게 얘기하는 데요
간단하게 말씀드릴게요, 두 개만 기억하시면 됩니다.
클릭률과 전환율입니다.
위 두 가지는 꼭 신경 쓰셔야 합니다.
왜냐하면 품질 지수가 높으면 내가 적은 비용으로도 1위 순위 노출이 가능하니까요
경쟁사와 가격 경쟁에서 이길 수 있습니다.
그러면 품질 지수는 어디서 보냐?
광고를 집행하면 초록색 게이지가 보이실 겁니다. 그게 품질 지수 게이지인데요
신규 광고주의 경우 7점 만점에 4점부터 시작하게 됩니다.
(참고로 광고 품질은 24시간 뒤부터 측정됩니다.)
설명을 자세하게 하다 보니 멀리 갔다 왔습니다.
이제 제일 중요한 포인트 입니다.
파워 링크 광고를 하면 뭐가 좋냐?
여러 가지 장점이 있지만가장 좋은 건 다른 광고보다 높은 구매 전환율입니다.
왜냐하면 이미 관심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니즈를 가지고 '검색'을 해서 유입이 되기 때문에
설득력이 조금만 있으면 바로 구매 전환이 되기 때문이죠.
그럼 무슨 키워드가 좋냐?
블루오션 키워드 쉽게 발굴할 수 있는 방법을 말씀드릴게요!
첫 번째, 일단 핵심 키워드를 정해주세요
만약 내가 사과를 판매한다면 사과를 핵심 키워드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두 번째, 연관 키워드로 확장시켜주세요
핵심 키워드 + 종류, 지역, 색상, 특징, 무게, 포장 등 형용사나 부사를 붙여준다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순서는 상관없어요!)
예를 들어 유기농 사과, 무농약 사과, 충북 사과, 영동 사과, 껍질째 먹는 사과, 사과 3kg, 사과 5kg, 명절 사과 등과 같이 확장시킬 수 있겠죠?
그래도 어려우시면?!
네이버에 핵심 키워드를 검색하고 연관 키워드란에 있는 키워드들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되실 겁니다.
'최대한 많이 찾아내서 다 등록해야지?' 라고 생각하신 분 있으면 손드세요
분명 말씀드립니다. 연관 키워드입니다.
소비자들은 바보가 아니에요 다른 선택지가 많습니다.
내 상품과 관련성이 있지 않으면 절대 구매 일어나지 않습니다.
세 번째, 월평균 검색량, 경쟁지수 등을 고려해서 최종 선정하시면 됩니다.
여기서 검색량과 경쟁지수가 높을수록 당연히 입찰 단가가 높아질 테니
내 상품 판매가&마진 등을 고려하셔서 키워드 설정하셔야 합니다.
더 나아가 레벨 업을 위해서는 확장 소재까지 활용해 주셔야 합니다.
기본 소재에서 쓰지 못했던 소구점들을 추가로 기입할 수 있고
내가 차지할 수 있는 구좌가 넓어져서 주목도가 확 올라가고 고객의 유입 경로를 확대할 수 있습니다.
이상 매출 전문 마케터 이주원이었습니다.
끝!!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