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AMPM 글로벌 광고 컨설팅 4팀 이형섭입니다.
오늘은 다양한 마케팅 중 숏폼 콘텐츠 마케팅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숏폼 마케팅에대해서 알아보기전 숏폼에 정의에 대해서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숏폼이란 ?
1분 이내의 짧은 영상을 뜻하며
콘텐츠의 노출과 확산이 굉장히 빠르고 쉬울 뿐 아니라
길이가 짧다 보니 제작 비용 측면에서도 가성비가 좋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짧은 시간 안에 다양한 영상을 통해 생생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특장점이 있어
주요 마케팅 수단으로 활용되기도 합니다.
숏폼을 시청하는 이용자들은 하루 평균 1시간 이상 콘텐츠를 시청하는데요,
최근 2년 사이 숏폼을 시청하는 이용자 수가 크게 증가하며,
주 이용층이 10대에서 전 연령대로 확대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용자들은 숏폼 콘텐츠를 어떤 플랫폼에서 주로 시청할까요?
틱톡, 인스타그램 릴스, 유튜브 쇼츠가 숏폼 시장을 주도하는 3대 플랫폼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틱톡>
틱톡은 새로운 사회 현상을 만들어 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요,
가장 대표적인 숏폼 서비스로 짧은 영상을 찍어 올리는 10대들의 놀이터에서
현재는 음원 챌린지가 필수 마케팅 수단이 될 정도로
사회적인 영향력을 보이며 숏폼 시장을 활성화하였습니다.
틱톡은 숏폼 트렌드를 이끄는 대표 미디어이며 챌린지 상품을 활용하여
빠른 콘텐츠 확산이 가능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인스타 릴스>
두 번째 대표 플랫폼은 인스타그램 속 짧은 영상
‘인스타그램 릴스’입니다.
릴스는 인스타그램 내 숏폼 서비스로 출시된 이후 현재
일 평균 약 1,400억 회가 재생되고 있으며
인스타그램 전체 체류 시간의 20%을 차지할 정도로
인스타그램 내 주요 서비스로 자리매김하였습니다.
특히, 비주얼 리티가 중요한 패션 뷰티 업종에 릴스가 효과적이라는 평이 있고,
SHOP 기능 연동으로 구매 전환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쇼츠>
마지막 대표 플랫폼은 유튜브의 ‘쇼츠’입니다.
2021년 3월 미국을 시작으로 숏폼 서비스인 쇼츠가 출시되었고
유튜브의 방대한 트래픽과 커버리지를 기반으로 출시 이후
1년 만에 4배 이상의 가파른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쇼츠는 폭넓은 유저층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숏폼 마케팅을 시작하는 브랜드에게 활용을 추천하는 플랫폼입니다.
오늘은 숏폼의 뜻과 대표 플렛폼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이를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분야는
편의점, 케이팝, 스포츠 업계 등이 있습니다.
어떤식으로 사용하고 있는지는 다음시간에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