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A vs GA4 달라진 점 6가지
마케터 이미지
김상현 마케터
2023-06-22

조회수 : 691

댓글 0

안녕하세요:)

ampm글로벌 광고퍼포먼스 2팀 추교민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UA에서 GA4로 전환이 되는데요.
GA4와 UA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google Analytics(GA)는 앱이나 웹에서 발생하는 

고객의 행동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이 도구에 여러 버전이 있는데요. 


2013년부터 서비스하던 Universal Analytics(UA)의 서비스 종료가 

2023년 7월 1일자로 예정되어 있어요. 

UA 이후 버전인 Google Analytics 4(GA4)로 전환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GA4에서 달라진 점 6가지


1. 이제는 사용자의 모든 활동을 '이벤트'로 저장합니다.


UA에서 페이지뷰, 이벤트, 전자상거래 등 여러 유형으로 

구분되어 있는 데이터 모델과 달리 GA4에서는 

모든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이벤트로 수집합니다. 

훨씬 간결해졌죠. 


GA4의 이벤트는 단순하고, 유연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벤트 이름은 필수로 지정해주어야 하고, 

이벤트와 관련된 추가 정보는 매개변수(parameter)에 저장합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특정 페이지에 방문했을 때 

발생하는 이벤트의 이름은 ‘page_view’이고, 이 이벤트는 

page_title, page_location, page_referrer 등 

추가 정보를 담고 있는 매개변수들과 함께 저장됩니다.





2. 페이지 조회, 스크롤 등 6가지 이벤트를 

자동으로 수집하는 향상된 측정 기능을 지원합니다.


사용자가 이벤트를 직접 만들기도 하지만,

 ‘향상된 측정’이라는 기능을 이용하면 GA4 태그를 

사이트에 설치만 하고도 페이지 조회, 스크롤, 이탈 클릭 등

 총 6가지의 이벤트를 자동으로 수집할 수 있습니다.


*향상된 측정으로 수집하는 이벤트의 종류와 수집 조건은 아래와 같습니다.




3. 웹, 앱 데이터를 통합해서 수집 및 분석이 가능합니다.


GA4에서는 보기(’View’)의 개념이 없어지고, 

하나의 GA4 속성에서 웹, 앱 데이터를 통합하여 조회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로그인을 할 수 있는 서비스라면 User ID를 

이용하여 개별 사용자가 다양한 기기 및 플랫폼에서 

발생시키는 활동을 연결하여 분석할 수 있습니다.




4. 세션 수 집계 방식이 변경되었습니다.


세션이란 일정한 기간 내에 웹사이트에서 

발생한 사용자 상호작용의 집합입니다. 

GA에서는 기본적으로 30분 동안 활동이 없으면 

세션이 종료된 것으로 정의합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벤트를 발생시키고 

30분 동안 다른 활동을 하지 않았다면 세션을 종료합니다. 

그리고 사용자가 다시 활동을 시작했을 때 새로운 세션 Id를 발급합니다. 

UA와 GA4는 세션 집계 방식에도 차이가 있을 뿐 아니라 

여러 다른 요인으로 세션 개수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활성 사용자의 차이


GA4에서는 page_view 이벤트를 자동으로 수집하기 때문에 

사용자 활동이 자동으로 감지되지만, UA는 그렇지 않습니다. 

따라서 GA4의 활성 사용자 수가 더 많이 집계될 수 있습니다.

세션 수 집계 방식의 차이


GA4는 세션 중간에 캠페인 소스가 변경될 때 

새 세션을 생성하지 않는데, UA에서는 이 경우 

새 세션을 생성합니다. 


또한 세션이 날짜를 통과하는 경우

(예를 들어, 밤 11시 55분에 시작해서 자정 12시 5분에 종료됨)

GA4는 세션을 1회로 계산하지만 UA는 자정에 새 세션을 시작합니다.

Late hits

즉시 전송되지 않은 이벤트(Late hits)의 경우

 GA4에서는 최대 72시간 늦게 도착하는 이벤트까지 처리됩니다. 


GA4가 이런 이벤트를 처리하는 시간이 더 길기 때문에 UA보다 

더 많은 세션을 생성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웹사이트를 탐색하는 중에 인터넷 연결이 

끊겼다가 48시간 후에 다시 연결된다고 가정했을 때 

GA4는 이 이벤트를 처리하는 반면 UA는 처

리하지 않습니다.



5. 빅쿼리 raw 데이터내

보내기 기능을 무료로 지원합니다.



BigQuery는 구글의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입니다. 

유료 버전인 GA360에서만 제공되던 BigQuery 연동 기능을 GA4에서는

 누구나 무료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BigQuery에서는 집계된 데이터가 아닌, 이벤트 단위의 데이터를 

SQL이라는 언어를 이용해 직접 분석할 수 있습니다. 


또한 BigQuery에 다른 서비스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면 

그 데이터들과 GA4에서 수집한 사용자 행동 데이터를 연결하여 분석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6. 탐색분석 기능을 무료로 지원합니다.




유료 버전인 GA360에서만 제공되던 분석 허브 기능을 

GA4의 탐색 탭에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UA와 비교해서 GA4는 기본으로 제공되는 보고서의 수가 많이 줄었는데요. 

보고서의 갯수가 줄어든 가장 큰 이유는 아무래도

‘탐색 분석' 기능이 추가되었기 때문일 것 같습니다. 

탐색 탭을 클릭하면, 여러 분석 템플릿을 볼 수 있습니다. 

이 템플릿들을 이용해서 다양한 분석을 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


UA에서 GA4로의 이전은 단순히 보고서 인터페이스만 바뀌는게 아닙니다. 

데이터 모델부터 새로운 추가 기능들까지 학습을 해야하는 것은 물론이고, 

UA에서 잘 쓰고 있던 보고서들을 더 이상 쓸 수 없다는 점이 

답답하신 분들도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러나 세션 중심의 분석 사고에서 벗어나 사용자 중심의 분석을 하고, 

여러 플랫폼의 데이터를 통합 분석하는 것은 

거스를 수 없는 시대의 흐름인 것 같습니다. 


GA4의 데이터 모델과 세션 정의 방식이 UA보다 

세련된 방식이라는 것도 반박할 수 없는 사실입니다.


이외에 탐색 분석, BigQuery 등 사용자에게 

분석의 자율성을 준 부분도 직접 사용해보니 매우 유용합니다.


또, GA4 속성을 만든다고 해서 기존의 UA 속성이 

사라지는 것은 아니고 2023년 7월 1일까지는 

계속 사용을 할 수 있습니다. 


어차피 겪어야 할 시행착오라면 하루라도 

빨리 겪어봐야 더 빠르게 정확한 분석을 할 수 있지 않을까요? 



여기까지 UA와GA4의 차이점에 대한 글을 마치겠고

보다 더 다양한 자료가 궁금하시다면


[ 추교민사원 마케팅 인사이드 자료 모음.ZIP]






검색광고마케터1급GAIQ구글애널리틱스SNS광고마케터

확실한 성과와 결과를 원하신다면! 저와 함께 하세요

ROAS 최대 10배 개선, 5,000%이상 달성 
DB단가 절감 50% 이상, 성과 효율 개선 레퍼런스 보유 多

sanghyun.k@ampm.co.kr
02-6049-4030

댓글

0

마케팅 인사이트

전체 글 보기
데이터가 없습니다.
광고상담은 채팅으로 문의하세요.
몇 분 내 답변 받으실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