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순 바이럴 마케팅은 마케팅 키워드만 있으면 대행을 통해 대량으로 배포할 수 있죠. 하지만 유튜브나 영상 마케팅의 경우 비용 절감, 커뮤니케이션의 용이함, 브랜드 핏에 맞는 인플루언서를 선정하기 위해서 등의 이유로 내부에서 직접 컨트롤 하는 비중도 커지고 있습니다.
혹시나 인플루언서 마케팅 프로젝트의 담당자가 되어보신 적 있으신가요? 섭외 등 실행할 업무도 무척 많아지지만, 회사 내에서 보고용 문서를 작성하는 것도 어려운 일 중 하나입니다.
보고용 문서의 예시로는 인플루언서 마케팅의 목적이나 선정 과정, 예상 비용 등을 설명하는 기획안이 있습니다. 또한 인플루언서들이 어떤 조건에서 어떻게 관리되고 있는지 등을 회사에 설명할 경우에 필요한 문서들도 있어요.
저 또한 대행사를 통해서 진행해오던 일을 직접 핸들링하게 되었을 때 막막함이 앞서기도 했습니다. "그냥 리스트업해서 컨택 메일 뿌리면 되는 거 아닌가?", "도대체 뭘 어떻게 보고하라는 거지?" 하는 생각이 들었는데요. 인플루언서 마케팅 보고서에 대해 속 시원하게 알려주는 문서가 있었으면, 다른 회사의 보고서를 엿볼 수만 있다면 등의 생각을 수도 없이 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래서 저와 같은 상황에 놓인 주니어분들을 위해 미리 알고 준비하면 도움이 될 수 있는 내부 보고 가이드를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우리 회사와 적합한 인플루언서를 선정하기 위해 회사 내에서는 어떤 문서들이 필요하고, 어떻게 작성하면 될지 지금부터 케이스별로 알려드릴게요!
원페이지 보고서, 이렇게 쓰면 프리 패스!
모든 프로젝트가 그렇듯, 인플루언서 마케팅에서도프로젝트의 목적과 방향성, 선정 기준 등이 담긴 기획안을 작성하는 단계가 매우 중요합니다. 내부 보고에도 도움이 되지만 실제 섭외와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담당자가 방향성을 잃지 않도록 도와주는 역할도 하기 때문이죠. 크게는 네 가지 항목으로 구분하여 디테일을 잡아가는 것이 좋습니다.
① 프로젝트 목적
회사에서 인플루언서 마케팅을 집행하려는 목적을 명확하게 리마인드하는 항목입니다.
단순 바이럴·광고 소재 확보·신규 고객 확보·신제품 홍보 등 내부 상황에 따라 다양한 목적이 있을 수 있을 텐데요.
각 목적에 따라 선정하는 인플루언서의 성격도, 활용하는 채널도 달라지겠죠? 보통 인스타그램은 단순 바이럴, 이미지 소재 확보, 공동구매 목적으로 사용하고, 유튜브는 동영상 소재 확보, 바이럴, 신제품 홍보 등 폭넓게 활용 가능합니다.
② 프로젝트 세부 사항
마케팅 방향성과 소구점 등에 대해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항목으로 생각하면 됩니다. 따라서 아래와 같은 항목을 포함하여 작성해주시면 좋습니다.
1) 제품 구성 및 선정 이유
주력상품이나 신제품이 있는 경우 특별히 기입하지 않아도 무관하지만, 단순 바이럴이나 브랜딩이 목적이거나 제품의 수가 많은 브랜드의 경우 어떤 제품을 소구할 것인지 선정해줍니다.
2) 제품 소구점
제품의 어떤 포인트를 중점으로 가져갈 것인가를 확실하게 정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제품의 소구점을 잘 정리해두면 추후 인플루언서에게 제공할 가이드의 뼈대가 되는 내용으로 활용이 가능합니다.
단순히 맛이 좋고, 한 끼 영양소를 다 채울 수 있다는 내용뿐 아니라, 어떤 상황에서 활용이 가능하고 이럴 때 좋다는 점, 그리고 어떤 식으로 보여주면 좋겠다 하는 내용을 구체적으로 생각해보면 좋겠죠?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