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비만 쓰는것이 과연 마케팅일까?

김한아 마케터
2023-07-05
조회수 : 591
댓글 0
- 안녕하세요~오늘은 온라인으로 상품과 서비스를 판매하기 시작한
- 대표님들에게 꼭 드리고 싶은 말들을 전하려 왔습니다!
- 온라인 사업을 시작하시는 대부분의 대표님들은
- 매출을 올려야겠다는 급한마음에 광고비부터 쓰고 있습니다.
- 그래서 원하는 성과를 얻으셨나요?
- 제가 지금부터 말씀드릴 부분을 놓친상태로 광고를 집행한다면
- 의미없는 광고비만 계속해서 쓰실겁니다
- 마케팅이란 무엇인가?
- 시장조사 -> 생산 -> 유통 -> 광고 -> 판매 -> 판매후 피드백 수렴
- 1. 시장조사
- "새로운것을 창조하지마라"
- 고객들은 새로운것이 아닌 익숙한것에 끌리게 되어있습니다.
- 우리의 입장이 아닌 고객의 입장에 서서 뭘 원하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예를들어 편한의자를 판매한다 했을때
- 고객들에게 편한의자는 여러의미로 적용될 수 있습니다.
- '바퀴달려 이동이 편한의자'
- '앉았을때 푹신한 의자'
- '접이식 의자'
- .
- .
- .
- 우리가 편한의자의 의미를 정하는 것이 아닌
- 고객들이 많이 찾는 의미의 상품을 제공하는것이 중요합니다.
- 2. 생산
- 위에서 말했듯이 새로운 상품을 생산하는것이 아닌
- 기존 시장의 제품에서 고객들의 불만을 해소한 제품을 생산하는것
- 이점이 우리가 생각해야할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
- 그리고 매출을 높이고 싶은 욕심으로 여러상품을 제공하면
- 이도저도 안되게 됩니다.
- '단 하나의 상품'
- 하나의 상품을 주력으로 판매하면서 브랜드를 키워야
- 신뢰성을 얻은 상태로 다른 상품들도 판매할 수 있게 됩니다.
- 3. 유통
- 자사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어떤 유통경로를 통해 표적시장이나 고객에게
- 제공할것인가를 결정하고 새로운 시장가치와 고객가치를 창출하는 단계입니다.
- 전통적인 관점의 유통경로는
- 제조업자 -> 도매상 -> 소매상 -> 소비자
- 이러한 순으로 이루어집니다.
- 유통경로의 효용과 기능에 대하여 명확히 이해하고 관리해야 합니다.
- 유통경로가 창출하는 효용은 크게 세가지입니다.
- 시간효용
- 소비자가 제품 or 서비스를 구매하기 원하는 시간에 공급함으로써 발생되는 효용
- 장소효용
- 소비자가 편리한 장소에서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을때 발생되는 효용
- 소유효용
-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조업자에서 소비자로 이전되어 소비자가 제품을 소비할 수 있는
- 권한을 갖는 것을 유통경로가 도와줌으로써 발생되는 효용
- 이번에는 유통경로의 기능을 설명드리겠습니다.
- 교환과정의 촉진
- 중간상의 개입으로 교환과정을 보다 단순화 시킬 수 있으므로
- 효율적인 거래가 성사됩니다.
- 제품 구색 불일치 완화
- 제조업자가 소수의 제품라인을 대량생산하지만
- 소비자는 다양한제품을 소수로 구매할 시
- 양자의 욕구 차이에서 발생하는 제품 구색과 구매량의 불일치를
- 유통경로가 완화
- 소비자와 제조업자의 연결
- 적은 비용으로 더 많은 잠재고객에게 도달
- 고객서비스 제공
- 제조업자를 대신해 유통경로에서 소비자에게 여러 서비스를 제공
- 예를들어 제품의 배달,설치,사용방법 교육 등
- 4. 광고
- 광고라 하면 꼭 돈을 써야 하는 걸까요?
- 물론 광고비를 써야 하는 상황이 있다면 써야겠죠
- 하지만 초창기 대표자님들이 광고비를 써서 고객들을 유입시킨다한들
- 리뷰와 후기가 없는 제품을 살까요? 그럴일 X
- 우리의 상품이 고객들에게 다가가기 위해서는
- 쇼핑몰별 최저가,SNS,블로그,카페
- 상품 카테고리마다 다르겠지만 위의 4가지는 필수적으로 해야합니다.
- 쇼핑몰별 최저가
- 우리는 지금 '100g 신발'을 팔려고 합니다.
- 브랜드/제조사/상품명/모델명/상품의 특성....
- 상품의 정보들을 여러 오픈마켓(스마트스토어,11번가,옥션,지마켓,롯데온 등)에 똑같이 입력을 하게 되면
- 하단이미지와 같이 쇼핑몰 최저가로 묶이면서 상단으로 올라가게 됩니다.
- 여기서 POINT!
- 상품등록된 오픈마켓 숫자가 많으면 많을수록 상위에 올라갈 수 있다는 점!
SNS- 요즘 시대는 SNS로 연결되어있다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 하단 이미지와 같이 체험단같은 이벤트를 통해서 잠재고객들에게
- 흥미를 유발해서 우리의 상품으로 유도해야합니다.
- 블로그 및 카페
- 우리는 '100g 신발'을 판매한다고 했으니
- 고객들이 검색할만한 키워드를 검색해 봤습니다
- 구매후기와 같은 실제 상품에 대한 평가를 글로 써서
- 고객들에게 신뢰성을 주는것이 중요합니다.
- 사람들이 많이 찾는 카페에서는 후기글을 대충 쓰게 되면
- 광고글이라는 걸 금방 눈치챕니다.
- 그래서 제가 생각한 방법은
- 여러 브랜드의 가벼운 신발들을 구매하고
- 직접 착용한후에 후기 형식으로 작성하는것입니다.
- 그리고 저희가 판매하려는 상품의 장점을 티나지 않게
- 사람들에게 어필하는것입니다.
- 네이버 스마트스토어의 상품등록 프로세스는 제가 이전에 작성했으니
- 참고해주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 사업자분들의 절실한 심정을 너무 잘 알기 때문에
- 오늘의 글을 작성했습니다.
- 대표님들의 성공을 기원하면 오늘 인사이트 마치겠습니다!
댓글
0
마케팅 인사이트
전체 글 보기 데이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