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광고 기본 용어 (1)
마케터 이미지
김용민 마케터
2023-08-10

조회수 : 921

댓글 0

녕하세요

Ampm 광고컨설팅 6팀 허송주 입니다



온라인 광고 집행하시면서 어려웠던 기초적인 용어, 사실 접하고 들어보셨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간단하게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CPM 광고 ( Cost Per Mille ) 1000번 노출 당 비용을 말하는 것으로 보통 CPM 이 1,000원이라고 하면 천번 노출당 1000원, 즉 노출 1번에 1원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죠. 물론 노출의 질도 중요합니다만, 일반적으로 CPM 이 낮을수록 비용 대비 저렴하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CPM광고는 광고상품의 비용을 노출당 비용으로 책정하는 광고상품입니다 클릭수는 보장이 되지 않지만 노출수가 보장이 되는 상품입니다


CPC 광고 ( Cost Per Click ) 1번 클릭당 비용을 말하죠. CPC가 낮을 수록 비용 대비 많은 유입이 있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네이버 검색광고(키워드광고)의 전체 평균 CPC는 300원 대 정도라고 하죠  물론 내 사업에 맞는 질 좋은 클릭인 것이 중요하겠지만, 같은 비용으로 많은 클릭을 확보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효과적이라고 판단합니다. CPC 광고는 클릭당 광고상품으로 클릭을 기준으로 비용이 과금되는 광고상품입니다


CPP 광고 ( Cost Per Period ) 특정 기간당 광고비를 지불하는 방식으로 기간보장형 광고상품입니다


CPA 광고 ( Cost Per Action ) CP내가 원하는 사용자의 액션 (회원가입, 설치 등) 을 하게 하는데 사용된 비용 따라서 CPA 광고는 액션을 보장해주고 그 액션에 대해 비용을 과금하는 형태입니다


CPI 광고 ( Cost Per Installation ) CPA의 하위 분류하고 생각할 수도 있겠네요. 일반적으로 모바일 게임 등 모바일앱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에서 많이 집행을 합니다 설치 당 비용을 과금하는 형태로 광고주 입장에서는 비용 내에서 설치 수를 보장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죠

다만 매체사 입장에서는 설치 수를 보장해야 하므로 CPC 광고상품 등에 비해서는 단위당 비용이 큰 편입니다. 주로 캐쉬슬라이드 등 리워드형 광고를 제공하는 서비스에서 집행이 가능한 광고입니다



CPS 광고 ( Cost Per Sale ) 실제 구매가 발생했을 때 비용을 지불하는 광고 방식이며

홈페이지 방문자들이 구매로 이어지는 경우는 흔치 않기 때문에 광고비가 다소 높은 편은 광고입니다



CPT 광고 ( Cost Per Time ) 정해진 시간만큼 광고를 노출한 후 광고비를 지불하는 방식입니다

특정 시간 대에 인기 있는 음식 관련 광고를 할 때 사용하거나 특정 시간대에 방문율이 높은 페이지의 경우 적용할 수 있는 광고입니다



CPV 광고 ( Cost Per View ) 일반적으로 동영상 재생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면 CPC 같은 개념으로 동영상 광고의 CPC 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지금까지  중요하게 알아둬야 할 광고 용어에 대해 설명드렸습니다 


다음은 온라인 광고 기본 용어 2탄으로 돌아오겠습니다 : )







첨부 파일
검색광고마케터1급GAIQ구글애널리틱스SNS광고마케터

광고는 미디어 환경의 이해부터 시작입니다.

미디어는 광고와 광고가 아닌 미디어로 정확하게 나누어져있지 않습니다.
미디어 환경에 대한 이해도가 낮은 상태로 마케팅을 진행하면 단순히 퍼포먼스 지표만을 위한 광고가 될 수 있습니다.
왜 광고가 필요한지에 대한 인지 단계부터 시작할 수 있는 마케터입니다.

댓글

0

마케팅 인사이트

전체 글 보기
데이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