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마케팅 소식을 전달 드리는 AMPM글로벌 한태규입니다.
오늘도 급변하는 SNS 생태를 알려 드리려 뉴스를 가져와 보았는데요.
넷플릭스에 이어 아마존 프라임또한 광고 시청 요금제를 런칭했다는 부분입니다!
자세한 기사는 아래와 같습니다.
넷플릭스, 디즈니플러스에 이어 아마존도 오티티(OTT·온라인동영상서비스)에 광고 요금제를 도입한다. 이전처럼 광고 없이 영상을 시청하려면 지금보다 비싼 요금제를 선택해야 해 사실상 요금이 인상되는 셈이다.
국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아마존은 오티티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에 내년 초부터 광고 요금제를 도입한다고 22일(현지시각) 밝혔다. 오티티는 그동안 이용자에게 월 구독료를 받는 대신 지상파 방송처럼 광고를 보여주진 않았다. 그러나 앞으로는 동영상 서비스에 광고를 삽입하겠다는 것이다. 만약 광고 없이 영상을 보고 싶다면 월 2.99달러를 더 내야 한다. 현재 미국에서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의 월 구독료는 8.99달러로, 내년에는 광고 없는 요금제는 11.98달러가 된다.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를 무료로 이용하던 아마존의 멤버십 서비스 ‘아마존 프라임’(월 14.99달러) 가입자 역시 광고 없이 동영상을 보려면 월 2.99달러를 더 내야 한다. 사실상 요금이 오르는 것과 마찬가지다.
광고 요금제는 미국과 영국, 독일, 캐나다 등에 우선 적용한 뒤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멕시코, 호주 등에도 적용된다. 아마존은 광고 요금제 도입 배경에 대해 “경쟁력 있는 콘텐츠에 계속해서 투자하고, 또 이런 투자를 장기적으로 늘려나가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마존보다 앞서 넷플릭스, 디즈니플러스, 훌루 등 다른 오티티 사업자들도 광고 요금제를 잇달아 도입해 왔다. 넷플릭스는 지난해 11월 오티티 중 처음으로 광고 요금제를 도입한 데 이어, 지난 7월에는 광고 없는 요금제 가운데 가장 저렴한 기본 요금제를 폐지했다. 디즈니플러스와 훌루는 광고 없는 요금제 가격을 오는 10월부터 각각 10.99달러에서 13.99달러로, 14.99달러에서 17.99달러로 올리기로 했다.
기사와 같이 전체적인 OTT 서비스의 가격 개편과 새로운 BM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특히 유료 요금제에서 광고 시청이 가능한 요금제 런칭으로 OTT 서비스들은 수익구조 개선을 이루고 있는데요. OTT 가입자가 이미 레드오션인 상황에서 광고 지면과 노출이 늘어난다는 것은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특히 OTT외에도 유료 가입을 고려하고 있는 X(구 트위터)의 경우에도 해당 BM을 따라갈 가능성이 어느정도 예상되는 가운데, 지면활용 방안과 소비자에게 접근 가능한 새로운 전략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다음번에는 OTT 관련한 판도와 SNS 트렌드도 한번 정리 해보려 합니다.
다음에 뵙겠습니다!
해당 글 외 문의사항도 얼마든지 자유롭게 문의 남겨주시면, 답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