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AMPM 글로벌의 이한나 AE입니다.
제품 올리고 광고만 올리면 끝인 줄 알았죠?
매체를 더 다양하게 확장할 수록
더 정확한 데이터를 얻도록
스크립트라는 것을 심어줘야 합니다.
그렇다면 스크립트는 무엇이냐?
“스크립트 = 프로그램 언어로 작성한 명령어"
그 스크립트는 "전체 웹사이트 스크립트 / 이벤트 스크립트" 로 나뉩니다.
홈페이지 모든 페이지에 전체 웹사이트 스크립트를 설치해, 우리 홈페이지 방문 유저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고
이벤트 스크립트를 설치해, 홈페이지에서 어떤 사람들이 들어와 어떤 행동을 하는지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1 ) 타겟팅 효율 향상
2) 데이터 수집 후 리타겟팅 광고 가능
3) 유사타겟 만들기 가능
4) 전환 광고캠페인 사용이 가능해지죠.
구글의 UTM이나 카카오나 메타의 픽셀 등 다양한 스크립트들이 존재하는데요.
오늘은 스마트 스토어의 NT파라미터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스마트 스토어 - NT파라미터]
1. NT 파라미터란?
스마트스토어 통계 분석을 위해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정의 파라미터 값입니다.
UTM파라미터가 GA(구글)에서 쓰는 값이라면 NT파라미터는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통계에서 쓰는 값입니다.
이 값을 활용해 내 스마트스토어 상품 주소 뒤에 붙여 공유하면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통계가
자동으로 값을 분류해 정확한 고객 유입 정보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NT파라미터는 총 4가지 값으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1) nt_source : 유입 마케팅 채널 명칭 (필수/영문만 가능)
2) nt_medium : 유입 마케팅 채널의 종류 (필수/영문만 가능)
3) nt_detail : 유입 마케팅 채널 명칭의 하위 내용 (선택/한,영 가능)
4) nt_keyword : 유입 키워드 (선택/한,영 가능)
이 중에서 nt_source와 nt_medium은 필수라서 반드시 이 2가지 값은 기재하셔야 합니다.
2. NT 파라미터 쓰는 방법
간단합니다.
페이지 주소 뒤에
'?nt_source=값&nt_medium=값&nt_detail=값&nt_keyword=값'
형태의 NT파라미터 값을 붙이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네이버 블로그에 여름세일을 한다는 포스팅을 올린다고 한다면,
?nt_source=naver.blog&nt_medium=social&nt_detail=블로그제목&nt_keyword=여름세일
위와 같이 NT파라미터를 구성해 상품 페이지 주소 뒤에 붙이시면 됩니다.
코딩 같이 복잡한 게 아니고 그냥 값을 잘 구분해서 주소 뒤에 붙여주면 끝납니다.
3. NT 파라미터 꿀팁
NT파라미터를 활용하려면 전략적으로 설계를 잘 하셔야 합니다.
처음에는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들어가도 나중에는 큰 메리트로 다가올테니까요.
1) 채널분류
통상적으로 '네이버 블로그, 인스타그램, 카페' 이렇게 3가지 채널을 가장 많이 활용하실텐데요.
아마 NT파라미터 값을 짜다보면 nt_source랑 nt_medium이 가장 많이 헷갈리실겁니다.
그 이유는 초기에 채널 분류에 대한 정의를 하지 않아서 그렇습니다.
nt_medium 값을 넣을 때 한 번은 social로 넣었다가 한 번은 media로 넣었다가 하면
아무리 통계에 잡힌다 하더라도 나중에 더 혼선을 빚을 수 있습니다.
그러니 반드시 내가 홍보하는 채널의 정의를 미리 분류해놓으시고 NT파라미터를 활용하시길 권장드립니다.
2) UX개선 = 숏링크
URL은 무조건 깔끔해야 합니다. 길면 절대 클릭하지 않습니다.
NT파라미터 값을 붙이면 당연히 URL이 길어지기 때문에 고객에게 제공하는 UX가 불편해질 수 있습니다.
비틀리라는 URL 단축 사이트를 이용하신다면 훨씬 깔끔하게 정리하실 수 있을 겁니다.
- 이한나 마케터의 더 다양한 콘텐츠를 보고싶으시다면
- 아래 링크들을 참고해주세요 :)
- .
- .
- .
- <EC업종!! 중요하다 시리즈>
[인테리어/가구/소품] 최신 트렌드 총정리!(분석편)
[인테리어/가구/소품] 최신 트렌드 총정리! (맞춤제안편)
<최신 TOP 5 콘텐츠>[네이버] !!검색광고(SA) 세팅 방법 총정리!!
[META] 확인 안하면 정지당함 -체크리스트- (파일포함)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