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f)
안녕하세요 AMPM 글로벌 퍼포먼스1팀 김도윤AE입니다.
오늘은 DA광고의 유형특징과 그 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DA광고는 ‘Display Advertising’의 약자로 웹사이트나 앱 등의 디지털 플랫폼에서 시각적으로 광고를 전달하는 형태를 나타냅니다. 이미지, 그래픽, 동영상 등 다양한 시각적 요소를 활용하여 제품, 브랜드, 또는 서비스를 홍보하는데 사용되며,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배너 광고, 동영상 광고, 인터스티셜 광고 등이 DA광고의 일부로 포함됩니다.
1.DA 광고의 매체
DA광고의 매체로는 AND/GDN/DDN/GFA/모비온 등 다양한 유형이 있는데, 이 유형들의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ADN(온사이트 광고)
- 가망고객을 중심으로 타겟팅
- 반복 노출빈도가 지나치게 높은 특징이 있어 고객 전환 확보에 유리함
2)GDN (구글 디스플레이 네트워크)
- 다양한 광고형식(이미지 광고, 동영상 광고, 리치 미디어 광고 등)
- 광고 성과 측정(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분석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
3)DDN(다음 카카오 지면 배너 광고)
- 사이트 리타겟팅(광고주의 웹사이트를 방문했던 이용자에게 노출하여 회원가입 및 재구매 유도)
- 검색어 타겟팅(자사의 상품 및 서비스 관련된 특정 키워드를 등록 후 사용자 검색시 맞춤형 광고를 노출)
4)GFA(네이버 성과형 디스플레이 광고)
- 입찰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면서 광고비용이 측정됨
- 최소 비용도 만만치않아 이용하기 힘들기 때문에 성과형 이용자가 늘어나고 있음
5)모비온
-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신규 및 가망 고객의 방문을 유도하는 유저타겟팅 기법을 통해 단순한 광고 노출이 아닌 구매와 매출까지 이어줌
- 합리적인 비용으로 효과적인 성과를 입증함
2.DA 광고의 특징
1)시각적 디자인 강조 : 시각적인 디자인에 중점을 두어 캐치플한 이미지, 그래픽 디자인, 동영상 등을 활용하여 제품이나 브랜드를 부각시키고 사용자의 시선을 끕니다.
2)다양한 형식 : 배너 광고, 동영상 광고, 리치미디어 광고 등 다양한 형식이 있으며, 각각의 형식은 목표와 캠페인의 특성에 따라 선택될 수 있습니다.
3)타겟팅 가능 : 광고주는 특정 타겟 그룹에 광고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다양한 타겟팅 기능을 활용할 수 있으며, 관심사, 행동, 지리적 위치 등을 고려하여 광고를 게재합니다.
4)측정과 분석 : DA 광고는 광고 성과를 측정하고 분석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하는데, 클릭률, 전환율, 노출 횟수 등을 통해 캠페인의 효과를 모니터링하고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5)반응형 디자인 : 다양한 디바이스와 화면 크기에 대응하기 위해 반응형 디자인이 적용되어, 모바일 기기에서도 효과적으로 광고를 표시할 수 있습니다.
3.DA 광고의 활용
1)웹사이트 : 다양한 웹사이트에서 배너광고, 리치미디어 광고 등을 통해 제품 서비스, 이벤트 등을 홍보할 수 있습니다.
2)앱 : 모바일 앱 내에서 홈 화면, 사용 중인 앱 내 페이지 등에 동영상 광고나 이미지 광고를 통해 광고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3)유튜브 : 동영상 광고를 통해 유튜브 사용자에게 제품 또는 서비스를 소개하거나 브랜드를 홍보할 수 있습니다.
4)소셜 미디어 플랫폼 :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트위터 등에서 활용하여 브랜드 인식을 높이고 타겟 그룹에 직접적으로 광고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