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직접전환이 뭘까?
직접전환.
1. 라스트클릭을 통해 전환이 발생한 경우.
2. 세션 30분 안에 구매가 발생하는 경우.
이 글에선 1번 라스트클릭에 대한 글을 쓰겠습니다.
"그냥 광고를 보고 구매를 하면 모두 직접전환 아닌가?"
생각 하실 수도 있는데
아주 잘못된 생각이에요.
먼저 직접전환을 이해하시기 전에
꼭 알아둬야 하는 것이 있는데
바로 '간접전환' 이에요.
페이스북 광고를 운영하시는 분들이, 많이들 오해하시는 부분이
바로 이 직접전환과 간접전환을 많이 헷갈려 하시는 것 같아요.
"아 라스트클릭이 발생한 광고가 직접전환 이구나"
말로는 이해했는데, 페이스북 지표상에 찍힌 전환 값이
직접전환인지, 간접전환인지는 어떻게 판단해야 할까요?
페이스북 지표상으로만 직,간접을 판단하기에는
어려움이있어요. 아니 불가능하다 라고 봐야할 것 같아요.
l페이스북의 기여기간 설정에는 조회와 클릭을 기준으로 기여기간을 설정하기 때문에 클릭을 안하더라도 어드민상 전환이 찍히게됩니다.
이 전환 값이 직접or간접인지 판단하기 위해서
꼭 실행해야 하는 일이 있는데
바로, 광고를 클릭했을 때 도달하는 (랜딩)페이지의 URL에
우리가 알아볼 수 있는 광고코드를 넣어 운영해야 합니다.
URL 속에 넣어둔 광고코드를 가지고 직접인지 간접인지
판단을 할 수 있는데,
진행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2탄에서 자세히 설명 드리도록 하고
1탄에서는 간략하게 직접or간접은 이러한 것이다.
정도만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아 직접전환은 축구로 따지면 골을 넣은 선수구나!
그렇다면,
간접전환은 뭘까?
간접전환은 라스트 클릭이 발생해 구매가 일어난 광고 이전에,
보여지고, 클릭되었던 광고에 전환 값이 찍힌 경우라고
이해하시면 될 것 같아요.
예를 들어서,
구글, 페이스북, 네이버의 광고가 있는데
네이버 광고를 보고 구매를 하지 않고, 구글 광고를 보고 구매를 했다면
네이버 광고는 간접전환, 구글 광고는 직접전환이 됩니다.
그럼, 구글과 네이버 광고를 보고
"이 제품 되게 좋은 것 같은데? 이따가 퇴근하고 사야지"
하고 페이스북 광고를 보고 구매를 하게 된다면
페이스북 상에선 직접전환이 찍히게 되고
구글, 네이버에게는 간접전환 값이 찍히게 될 수 있는데
이러한 부분이 간접전환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페이스북 지표 즉, 페이스북 어드민 자체의 성과만으로
전환 값을 측정해 운영을 하게 된다면,
잘못된 정보로 증액을 엉뚱한 곳에 하게 될 수 있고
광고 운영에 차질이 생길 수 있어요.
절대로 헷갈리면 안되는 부분
간접전환은 직접전환이 발생할 수 있도록 어시스트를 했기 때문에
구매에 기여를 하지 않은 것이 아니다.
하지만 발생한 전환이 직접인지 간접인지 확실하게 인지를 해야
어떤 광고에 예산을 더 사용할지 아닐지 판단이 가능하다.
물론 간접, 직접을 확인하는 과정이 까다롭고 귀찮을 수 있지만
버릇이 되기 시작하면 자기도 모르게 전환이 확인된다면
직접인지 간접인지 확인하게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솔직히 이 과정이 귀찮다면, 마케팅을 추천해드리고 싶진 않아요.
오늘 글을 짧게 요약하자면
직접전환은 라스트클릭 또는 세션 후 30분 이내에 구매를 한것이며
라스트클릭의 경우는 광고의 URL에 알아볼 수 있는 코드를 넣어 확인할 수 있다.
간접전환은 직접전환이 발생할 수 있도록 어시스트를 한 것이며
어드민상 지표에는 구매로 찍히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어드민 성과를 확인할 시에는
직접전환과 간접전환을 체크하며 증/감액, on/off를 진행해야한다.
이렇게 요약 가능하겠네요.
댓글
0